2025년 코인 시장 불장이 온다!
작성자 정보
- 헬리오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3 조회
-
목록
본문
온체인 데이터가 아닌 거시 경제 측면에서 비트코인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2025년이 2024년보다 더 기대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스탠다드 차터드의 애널리스트 제프리 켄드릭의 의견을 한번 보죠. 켄드릭은 외환과 매크로 경제 전문가로, 그의 경력을 살펴보면 모나시 대학에서 경제학 학사와 호주에서 MBA를 취득한 후, 전통 금융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인물입니다. 현재 스탠다드 차터드의 외환 리서치 헤드를 맡고 있습니다.
켄드릭은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올해 8월에 비트코인이 신고점을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신고점은 대략 1억 원 정도로, 올해 11월 미국 대선 전까지는 10만 달러, 즉 1억 4천만 원을 돌파할 것이라고 합니다. 내년에는 최소 15만 달러에서 20만 달러, 즉 약 2억 원에서 2억 8천만 원 사이에 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2억 원 정도까지는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2억 8천만 원에서 3억 원까지 가려면 많은 행운이 따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켄드릭의 예측은 참고용으로만 봐야 합니다. 과거 그의 예측이 맞은 경우도 있지만, 틀린 경우도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 하락하면 전망치를 낮추고, 상승하면 전망치를 올리는 등 변동성이 컸습니다. 애널리스트의 의견은 참고만 하시고, 최종 결정은 스스로 검증하셔야 합니다. 똑똑한 애널리스트라 하더라도 투자로 부자가 된 경우는 드뭅니다.
그렇다면 왜 2025년이 2024년보다 더 기대되는지, 그 이유를 매크로 경제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미국 대선을 전후한 증시 통계입니다. 비트코인과 증시가 별개로 움직일 수도 있지만, 대선과 같은 큰 이벤트는 주식이나 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2016년과 2020년 대선 전후로 증시와 비트코인이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통계를 보면, 대선이 있는 해에는 증시가 평균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쉐브런 원칙의 변화입니다. 최근 미국 대법원에서 행정부의 법률 해석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하는 쉐브런 원칙이 뒤집혔습니다. 이는 연방 규제 당국의 권한을 대폭 억제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SEC가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규제하려는 시도가 제동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에는 알트코인 ETF 출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명확한 규제가 마련되면 솔라나, 리플, 도지코인 등 다양한 알트코인의 ETF가 출시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도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리플의 법정 소송 결과도 긍정적으로 예상되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큰 호재가 될 것입니다.
2025년이 기대되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금리 인하보다 더 큰 호재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사스 법원에서는 SEC의 규제 권한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명확성을 부여하여, 투자자들에게 더 큰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25년에 수익을 실현한 후에는 번 돈을 지키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수익을 실현한 후 예금을 통해 안전하게 자산을 보존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1년에서 1년 반 정도 예금을 통해 자산을 보존한 후, 다시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오늘은 2025년이 2024년보다 더 기대되는 이유와 함께,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시장의 전망을 살펴보았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