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비트코인 채굴 45% 독점! 월가의 전략과 채굴 시장의 미래
작성자 정보
- 빅뱅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0 조회
-
목록
본문
수면 아래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월가의 계획들이 수면 위로 조금씩 드러나고 있습니다.
세계 1위 채굴 기업인 마라톤 디지털이 1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매수하면서 2만 개의 비트코인을 돌파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매수한 것뿐만 아니라 마라톤 디지털이 완전한 호들(HODL) 전략을 채택했다고 밝혔다는 것입니다.
이번 반감기 이후 많은 채굴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던지며 약세장을 연출한 것이 조정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마라톤 디지털은 조정 시기에도 단 한 개의 비트코인도 팔지 않고 계속 호들, 즉 존버 전략을 택했습니다.
마라톤은 현재 압도적인 채굴 기업 시총 1위 기업입니다. 마라톤 디지털의 최상위 기관 투자자 홀더 1위는 밴가드, 2위는 블랙록입니다. 3위와 4위는 제인 스트리트와 스테이트 스트리트입니다.
제인 스트리트는 11개의 비트코인 현물 ETF AP 파트너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스테이트 스트리트는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중 하나입니다. 마라톤 디지털의 2위, 3위, 4위 대주주가 모두 거대한 자산 운용사라는 점에서 비트코인 시장을 죽이기보다는 가격을 올려 채굴할 때마다 이윤을 많이 남기려는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월가 세력들은 철저하게 자본주의 최상단에 있는 포식자들이기 때문에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 않습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는 최근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비트코인 시장에서 중요한 3대 키워드는 현물 ETF, 채굴,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미국의 채굴 풀인 파운더리 USA는 전체 네트워크의 45%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공급되는 것의 45%를 미국이 독점적으로 채굴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미국이 채굴 시장을 독점하고 패권을 잡기 위해 가격을 하락시키고 영세한 채굴자들을 삼켜버렸습니다. 부동의 채굴 2위였던 중국의 앤트풀도 몸집을 키웠지만, 이번 조정으로 미국이 압도적으로 패권을 잡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미국 채굴 풀의 비중은 29%였고, 앤트풀은 25%로 박빙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조정으로 미국은 엄청난 채굴 점유율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비트코인 가격을 올려 채굴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중국도 비트코인을 적극적으로 매집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1위 은행인 ICBC는 비트코인이 금보다 훨씬 낫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19만 개의 비트코인을 왜 팔지 않고 보유하고 있을까요? 이는 비트코인을 다시 매수하려는 계획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월가 기관들은 철저하게 계획적으로 움직입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이며, 20만 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위는 중국입니다. 블랙록의 디지털 자산 총 책임자인 로버트 미친은 비트코인 2024 내슈빌 컨퍼런스에서 대형 금융 회사들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는 대형 금융 회사들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블랙록의 현물 ETF 수익은 올해 수익의 20-25%를 차지하며, 이는 비트코인 시장이 더 활성화될 것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현물 보유자들은 강력한 매수 및 보유 성향을 가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가치를 저장할 수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4년 1월부터 새로운 고래들이 시장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역사적으로 출시된 이후, 뉴 웨일(New Whale)들이 시장에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중장기적으로 시장에 들어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뉴저지주의 저지시티 시장은 연금 기금의 일부를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연금 자금이 비트코인 시장에 들어올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또한, 피델리티의 전무 이사 에비 존슨은 연금 계획에서 암호화폐를 탐색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1위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전 법무 장관인 폴 클레먼트를 이사회에 합류시켰습니다. 이는 규제 측면에서 막강한 지원을 얻기 위한 것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이며, 2위는 중국입니다. 중국도 비트코인을 다시 매수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랙록과 같은 대형 금융 회사들은 비트코인 시장을 죽이기보다는 더 활성화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