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케일의 리플, 솔라나, 아발란체 ETF 신청 이유와 전략
작성자 정보
- 와이파이달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7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요즘 그레이스케일이 리플, 솔라나, 아발란체 ETF 준비 중이라는데, 왜 갑자기 이런 거 준비하는지 한 번 파보자.
이번에 그레이스케일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말고, 자기들이 운영하던 디지털 라지캡 펀드 자체를 ETF로 전환해달라고 신청서를 냈대.
이 펀드에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이 94%나 차지하고, 나머지 6%가 솔라나, XRP, 아발란체 같은 알트코인인데, 직접 하나씩 신청한 건 아니고 그냥 다 같이 ETF로 만들겠다는 거지. 약간 편법 느낌이긴 한데, 이렇게라도 하면 솔라나나 리플도 ETF 들어간 셈 되니까 간접 효과는 확실히 볼 수 있을 듯.
카나리아 캐피탈이라는 생소한 회사도 XRP 현물 ETF 신청했고, 라이트코인 ETF도 냈다더라.
시장에서 소화가 되든 말든 비트코인 이더리움 다음 수요 대비하려고 미리 준비하는 거 같아.
근데 이게 딱히 지금 당장 필요한 건 아니잖아?
어차피 CME 선물에 등록된 것도 아니고, 솔라나나 XRP 같은 건 아직 규제도 걸린 상태인데 굳이 지금 시점에 왜 이러는 걸까?
대충 보면 트럼프도 당선되었겠다 불장 올 거 대비해서 준비하는 거지.
요즘 래리 핑크도 “비트코인은 오를 거다” 이런 식으로 계속 언급하고 있잖아.
비트코인 ETF뿐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유동성, 투명성만 잘 맞으면 계속 확장될 거라는 얘기를 하면서 슬슬 판을 깔아가는 중인 듯.
이더리움 ETF, RWA, 알트코인까지 언급하는 거 보면 딱 그레이스케일이랑 같은 생각하고 있는 거 맞지.
대충 내년쯤 비트, 이더리움 ETF 성공에 이어 알트코인 ETF까지 나올 가능성 높아 보이는 거지.
그렇다고 XRP나 솔라나 ETF가 메인 이벤트는 아니고 그냥 불장에 기름 붓는 정도 역할일 거야.
이미 비트코인, 이더리움 ETF 승인으로 판이 깔렸고, 알트코인 ETF는 기대감으로 오르는 거지,
큰 임팩트는 없을 거라고 봐.
내 생각엔 진짜 큰 흐름은 RWA나 IPO 같은 쪽으로 넘어갈 거 같아.
결국 알트코인 ETF는 불장 때 분위기 띄우고 살짝 화력만 더하는 역할로 봐야지 메인 요리는 아니라는 거지.
결국, 이 시장이 또 순리대로 흘러가는 거야.
비트코인 주기적인 상승 흐름 보면 반복이거든?
비트코인만 상승하는 지루한 구간이지만 다들 이때 팔고 떠날 때 기관들은 ETF로 다음 불장을 대비하는 거지.
JP모건도 최근에 슬슬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코멘트 내면서 2025년엔 코인 시장 강세 올 거라고 하더라.
마라톤 디지털 같은 채굴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팔지 않고 오히려 담보로 자금 조달하는 거 보면 아직 다들 끝난 줄 알고 떠날 때 이 사람들은 끝까지 붙잡고 있다는 거지.
다들 팔고 떠날 때 담보로 대출 받으면서까지 들고 있는 거 보면 확신이 있는 거라고 봐야지.
이더리움 같은 메인 알트코인도 결국에는 불장 시작 신호탄 역할을 할 거라고 본다.
지금 당장은 재미없어 보이지만 불장이 오면 이더리움이 막 앞장서고 그럴 가능성 꽤 있지.
요즘 크라켄이랑 아이레이도 통합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더 스테이킹 활성화나 이런 시스템들이 결국 탐욕과 과열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봐.
그럼 결국 이더리움 수요가 증가하면서 나중에 스테이킹된 이더 담보로 대출하고 다시 투자 돌리고, 완전 미친 탐욕 시나리오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근데 아직은 김치 프리미엄도 마이너스고, 코인베이스 프리미엄도 마이너스 상황이니까 뭐 재미도 없고 다들 흥미도 떨어진 시기잖아.
불장이 오면 이더리움이 앞장서면서 알트코인들에 대한 탐욕이 불붙을 거라고 예상은 되는데, 솔직히 지금 시점에 누가 믿겠냐고.
나중에 불장이 오면야 스테이킹 대출이고 뭐고 다들 미쳐 돌아가겠지만 지금은 그런 게 상상도 안 되는 거지.
한 가지 더 말하자면, 4년 주기로 불장이 온다고 하는데 이번에도 아마 비슷할 거라고 본다.
21년 팬데믹 때 공짜돈 막 뿌리면서 사람들 소비가 최고조였고, 지금은 다시 줄어들었지만, 고소득층 소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시기거든.
이게 단순 소비 패턴이 아니라 투자 시장에서도 비슷하게 반복되고 있다고 봐.
힘든 조정 구간 다 버티고 진짜 미래 보고 대중과 반대로 간 사람들만이 나중에 큰 수익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