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알트코인에 지나치게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작성자 정보
- 브래드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6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1세대 코인에 물을 타는 건 추천하지 않아.
리플, 스텔라, 에이다 같은 1세대 코인들은 지금 물려 있는 사람들이 탈출할 기회로만 삼는 게 맞다고 봐.
이번 상승장에서 어디에 투자해야 하냐고?
답은 간단해. 미국계 코인이나 최근 트렌드에 맞는 신규 코인들이야.
최근 리플과 스텔라, 헤데라, 이더리움 클래식 같은 코인들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공통점은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발행된 1세대 코인들이라는 거야.
이들 코인 중 일부는 커플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예를 들어, 리플이 오르면 스텔라도 따라서 오르고, 이더리움이 오르면 이더리움 클래식도 상승하는 식이지.
이번 상승장에서 1세대 코인들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몇 가지야.
특히 리플은 트럼프 당선으로 인해 SEC 소송 악재가 해소된 점이 크지.
이더리움 클래식도 이더리움과의 커플링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런 현상은 1세대 코인들 중에서도 특정 코인들이 다시 한번 상승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어.
하지만 1세대 코인 전체가 올라가는 건 아니야.
예를 들어, 비트코인 캐시와 라이트코인은 채굴 기반 코인으로 상승 가능성이 있지만, 중국계 1세대 코인들인 이오스, 네오, 가스 같은 코인들은 여전히 힘들 거라고 봐.
이유는 간단해.
재단 자체가 더 이상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기 때문이야.
1세대 코인들이 가진 가장 큰 문제는 대다수의 재단이 사실상 활동을 멈췄다는 점이야.
2017년과 2018년에 발행된 코인들 중에서 여전히 꾸준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협업 뉴스를 내는 코인은 손에 꼽을 정도야.
재단 트위터가 방치된 경우도 많고, 프로젝트 활동도 거의 중단된 상태인 경우가 많지.
이런 코인들에 돈을 묻어둔다면 큰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반대로, 지금 주목해야 할 건 최근 트렌드에 맞는 신규 코인들이야.
RWA(실물 자산화 토큰), AI, 디파이, 게임파이 같은 섹터에 속한 코인들이 상승 테마를 주도할 가능성이 커.
이들 코인은 재단이 적극적으로 마케팅과 개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상승장에서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1세대 코인들이 이번 상승장에서 다시 상승한다면, 그건 신규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올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신호야.
특히, 리플이 전고점을 돌파한다면 과거에 물려 있던 자금들이 다시 시장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어.
1세대 코인에 묶여 있던 자금이 현금화되면, 이 자금들이 다시 신규 알트코인이나 상승 테마에 맞는 코인들로 투자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지.
1세대 코인은 물 타지 말고, 이미 물려 있는 사람들만 적절히 탈출 기회를 잡는 게 좋아.
그 대신, 새로운 테마를 주도하는 RWA, AI, 디파이, 게임파이 같은 코인들에 투자하길 추천해.
이번 상승장에서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기 위해선 트렌드를 잘 읽고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하는 게 핵심이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