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코인 개발자는 무슨 일을 할까? 알아보자!
작성자 정보
- 카토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42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웹이나 앱 개발자 된다고 하면 내가 어떤 것을 개발할지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우리가 많이 사용해 봤고 회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기도 쉬우니까요
하지만 블록 체인 개발자가 된다면 과연 무엇을 만들게 될까요
늘 그래왔지만 개발 공부에도 트렌드나 키워드 라는 것이 있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나 AI 이런 것들은 지나갔고 블록 체인 개발자가 다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좁은 의미의 블록 체인 개발자는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를 말합니다
학원에서 블록 체인 개발자를 양성한다는 곳을 보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해서 최종적으로는 NFT를 만드는 것은 커리큘럼으로 잡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요
아무래도 요즘 가장 핫하고 외부에 많이 알려진 블록 체인 프로젝트 라서 그래 보입니다
여러 종류의 블록 체인 관련 회사들을 보다보면 블록 체인 개발자라는 것은 인터넷 개발자와 같은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블록 체인 개발에도 정말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단순히 블록 체인 개발자로만 설명되고 있는 것 같아요
실제로 블록체인 개발자를 뽑는 회사들을 보면 그것보다 더 넓은 의미의 블록체인 개발자를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넓은 의미의 블록 체인 개발자들은 어떤 일들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잘 알고계시는 스마트 컨트렉트 개발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게요
스마트 컨트렉트는 블록 체인에 코드를 올려서 탈중앙화 된 프로그램 실행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NFT를 발행할때 이더리움이나 클레이를 보내면 NFT로 돌려주죠?
이것도 스마트 컨트렉트로 되어있어요
코인을 보내면 사람이 그것을 확인하고 NFT를 만들어 보내주는게 아니라 블록 체인상에서 신뢰도 있게 자동으로 동작을하게 됩니다
디파이나 덱스를 사용할 때에도 스마트 컨트렉트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은행 수준의 보안 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블록 체인에 있는 스마트 컨트렉트입니다
스마트 컨트렉트를 만드는 일이 대단해 보이고 블록체인 개발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스마트 컨트렉트는 블록 체인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일 뿐이고 이것을 활용하는 인터페이스나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NFT를 만들었을때 스마트 컨트렉트를 통해 민팅이 끝난 NFT는 오픈씨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주로 거래를 하게되는데 오픈씨가 없다면 NFT는 지금과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을 거에요
탈중앙화된 거래소도 마찬가지입니다
스마트 컨트렉트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디앱(DApp)을 만드는 것도 블록체인 개발자의 일이기도 합니다
특히 블록 체인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내부적으로 쓰기 쉽게 처리해 두기 위해서는 백엔드와 블록체인 두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오픈씨와 같은 NFT마켓 디앱을 만든다면 블록체인 10%, 백엔드를 포함한 웹 개발 능력 90% 정도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앞서 말씀드린 두 가지 분야가 잘 알려진 블록 체인 개발자의 일입니다
스마트 컨트렉트만 다루는 개발자가 되려면 이 분야만 매우 깊게 파는 것이 맞을 것이고 디앱을 만드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는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다른 웹이나 앱, 백엔드, 게임 개발 기술을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디앱도 시장이 커지고 큰 회사에서 큰 규모로 블록 체인 사업을 한다면 분업화 되고 전문분야가 생각되지만 아직 대부분 거기까지는 가지 못한 것 같아서 시장에서는 동시에 할 줄 아는 사람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록체인 개발 분야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블록체인을 개발하지만 스마트 컨트렉트는 거의 안쓰는 분야도 있습니다
블록체인 인프라 쪽이 주로 그런데요
우선 블록 체인 메인넷을 만드는 곳이 있습니다
이더리움과 같지만 이더리움보다 더 나은 블록체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더 가볍고 빠르고 비용이 덜 드는 그런 블록체인을 만들고자 새로운 프로토콜이나 알고리즘을 창조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이더리움의 경우는 Go언어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여러 블록체인 노드를 작동시키는 노드 서버 인프라를 제공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전세계의 노드가 많을수록 블록 체인 데이터가 잘 보관될 수 있고 노드를 돌리면 리워드를 받게 됩니다
이더리움 2.0 스테이킹도 그런 원리구요
노드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AWS처럼 서버를 쉽게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해줍니다
우리나라의 회사들 중에서는 DSRV가 잘 하고 있죠
그리고 디앱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들을 위해서 IaaS 형태로 블록체인을 API로 제공해주는 회사도 있습니다
보통 블록체인 풀노드 드에서 JSON RPC를 통해서 통신하고 일반적으로 웹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REST API로 제공됩니다
Blockchain as a service라고 만들어진 블록체인을 제공하기도 하고 메타마스크나 비둘기 지갑처럼 개인 지갑을 만드는 곳도 있고 관련 사업이 끝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타깃하는 시장은 다르지만 블록체인을 쓰는 곳으로 기업이나 정부를 대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만들어주는 SI성 일을 해주는 회사도 있어요
외주를 받아서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만들게 됩니다
코로나 예방접종 증명을 해 주는 쿠브도 이렇게 만들어졌습니다
기업이나 정부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싶어할 때 블록체인 서버 부터 클라이언트 까지 풀세트로 만들어주게 됩니다
이런 곳은 퍼블릭 체인을 사용해서 사용자들을 확보하고 막대한 투자금을 받아 거대한 부가가치를 만들려는 곳들과는 조금 다르기는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해 이야기 해 드린 이유는 생각보다 분야가 많고 복잡하다는 것을 알고 진입하시길 바라서입니다
그래서 블록 체인을 하려면 뭐부터 공부해야 돼요 이렇게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블록 체인 관련 사업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것을 먼저 보시는 것이 좋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기술적으로 화이트 페이퍼나 논문을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는 없구요
왜 사람들이 이러한 사업의 열광을 하는지 어떤 기능이 왜 필요한지 이해를 하는게 중요합니다
사업 이해할 수 있게 되면 내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을지 관심사에 따라서 어떤 것을 배워야 할 지 더 쉽게 알 수 있구요
신규 분야다 보니 지금은 거품이 많은데 옥석 가리기의 시간이 지나면 어떤 분야는 메인 스트림이 되고 어떤 분야는 도태될 텐데 나는 가만히 있어도 저절로 시장에 의해 잘 나가는 분야에 있으면 좋잖아요
바로 블록체인 개발을 배운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큰 결심도 필요한 일이지만 그전에 블록 체인 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직접 해보는 것은 어렵지 않을 거에요
크립토라고 하는 다른 세상에는 어떤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정리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렉트, NFT, DApp 탈중앙화 프로그램, DeFi, Dex 탈중앙화 거래소, 민팅, 메인넷, 스테이킹,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체인, 하이트페이퍼(백서)
개발 및 통신 : 프로토콜, 알고리즘, 노드, Json RPC, Rest API, 프레임워크, 서버, 클라이언트
기타 : API 인터페이스, AWS(아마존 서버 서비스), DSRV(회사이름), IaaS(인프라 서비스), 메타마스크(지갑 서비스), 비둘기지갑(지갑 서비스), SI (정보시스템), 하이퍼레저 패브릭
스마트 컨트렉트로는 솔리디티를 많이 사용하고, 이를 프런트에서 구현해서 서비스로 제공하는 부분은 웹개발 언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