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금융계좌 코인 신고하는법을 올려드릴게요
작성자 정보
- 시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29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1. 2022년 1월31일, 2월28일, 3월 31일, 4월 30일, ~~~~12월 31일 즉 매월 말일 당시의 해외 거래소 및 지갑의 코인 개수를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 이걸 알기 위해서는 골치아픈게, 거래내역들을 뽑아다가 매월말일 당시의 보유수량을 역추적해야합니다. ㅠㅠ
바이낸스는 거래내역을 기간 신청하면 3시간내로 csv 파일로 추출해줍니다.
기타 개인지갑들도 다 csv 엑셀파일로 추출해주니 일단 받으신다음, 열어보시면 안에 사고 판것 외에 스테이킹 건거, 이자 받은거, 디파이 넣은내역들이 한꺼번에 다 떠요.
이걸 사고팔고 이자받은것과 수수료 낸것 즉 보유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만 남기고 다른건 지우시면, 현재 잔고를 역으로 더하기 빼기 하면 2022년 매월말의 보유수량을 다 알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걸 코인별로 따로 다 해야합니다. ㅠㅠ
2. 코인별, 거래소별로 2022년 매월 말일 기준 코인 수량을 다 파악했으면, 해당 코인의 2022년 매월말일 기준 가격을 알아야 합니다.
코인마켓캡 가셔서 일봉으로 바꾸신다음 코인들의 매월말일 종가를 알아내시면 됩니다.
3. 1번에서 구한 코인별 수량과 2번에서 구한 종가들을 매월말일 기준으로 서로곱하시면 매월말일 기준 총액이 나올겁니다.
4. 3번에서 구한 총액 중 가장 총액이 큰 월이 있을겁니다.
예를들면 1월31일 9억, 2월28일 7억, 3월31일 5.2억, 4월30일 4억 ~~~~~ 12월 31일 3억 이면, 1월31일 9억이 가장 큰 금액이므로, 2022년 1월31일 당시 보유한 코인 수량(1번에서 구하신거..) 을 신고하시면 됩니다.
2022년은 불장 이후 하락장이었으므로, 대부분 1월의 총액이 많았을겁니다.
축소 신고할까, 과대 신고할까를 고민하지 마세요.
걍 있는그대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지금 신고하시는 숫자는 세금과 무관합니다.
국세청에서 그냥 현황파악용으로 데이터를 활용할겁니다.
어차피 과세는 25년도부터 시작되니깐...
25년도 1월1일 0시 당시 기준의 코인수가 중요한거고, 구입가는 24년12월 31일 종가와 최초 구입시의 가격중 더 높은 가격을 기준으로 매수총액이 결정되고, 매도시의 차익에 대해 과세 될겁니다.
괜히 축소 또는 과대 신고 했다가 증빙자료 제출로 소명을 못하게 되면 망합니다.
ㅠ 웃긴건 거래소마다 엑셀로 역추적하면 소숫점 8자리까지 정확하게 잔고가 계산이 됩니다. ㅋㅋ 이걸 어떻게 조작하겠습니까? ㅠㅠ 다 걸립니다.ㅋㅋㅋ
참고하세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