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고팍스 피해자 자산 청구권 헐값 매각 논란
작성자 정보
- 테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7 조회
-
목록
본문
최근 바이낸스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후, 고팍스 피해자들의 자산 청구권을 액면가의 절반도 안 되는 금액에 팔아버린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원래 바이낸스는 고파이 투자자들의 자금 인출 중단 피해금 약 700억 원을 100% 보상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피해자들의 자산 청구권을 헐값에 팔아 보상금을 마련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고파이 투자자 자산 청구권 매각 정황
바이낸스는 고팍스의 주식을 시가보다 크게 할인된 가격에 인수해 최대주주가 되면서 피해금을 보상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자사 자금이 아닌 피해자들의 자산 청구권을 매각해 보상금을 충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에 묶여 있던 고파이 투자자들의 자산 청구권을 지난해 8월 이미 팔아버렸다는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팍스의 부채액은 현재 약 1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트코인 시세 급등에 따른 피해자 손실 증가
고팍스의 자산 청구권 매각 후 비트코인 등의 가상자산 시세가 급등하면서 피해 규모는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당시 시세로 약 700억 원 규모였던 자산 청구권을 절반도 안 되는 가격에 판매했으나, 현재 가상자산 시세로 인해 고팍스는 최소 수백억 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바이낸스의 책임 회피와 고팍스의 침묵
바이낸스는 초기 자사의 산업회복기금(IRI)으로 고파이 피해자금을 충당하기로 했지만, IRI는 1차 피해금 지급에만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2차 지급부터는 제네시스 청구권을 헐값에 팔아 얻은 비트코인으로 지급했고, 나머지 피해금은 고팍스 인수 후 지급하겠다고 미루고 있습니다. 고팍스는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자산 청구권 매각에 대한 비판
바이낸스는 고팍스의 구주를 인수할 당시 '고파이 피해금 100% 지급'을 조건으로 걸었지만, 실제로는 피해자들의 자산 청구권을 헐값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사실상 '부채 돌려막기'에 해당하며, 책임감 없는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철저한 검토
금융당국은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과정에서 자금세탁 및 불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철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고팍스는 바이낸스 측 인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내용의 등기임원 변경 신고서를 제출했으나, 금융위는 바이낸스의 자금세탁 의혹 등을 이유로 신고 수리를 보류하고 있습니다.
결론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과정에서 드러난 피해자 자산 청구권 헐값 매각 논란은 가상자산 거래소의 책임과 투명성에 대한 문제를 다시 한번 부각시켰습니다. 피해자들은 자산을 되찾기 위해 긴 싸움을 이어가야 할 것으로 보이며, 금융당국의 철저한 검토와 규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