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상황이 부정적인 이유 정리
작성자 정보
- 네임리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47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1. 우리나라는 현재 미국과 금리차가 존재함
2. 90일 이내 PF대출 상환액이 50조 수준.
3. PF대출의 가장 큰 뇌관은 부동산 미분양이며, 미분양으로 인한 자금 경색이 심화.
4.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2년 10월 50조를 풀어 방어
5. 미국 금리인상이 멈출 조짐이 보였으나 최근 아메리칸 스트롱을 외치며 미 금리를 더 인상하는 기조가 보이기 시작
6. 국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2022년 대비 상승추세를 가지고 있음
7.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한국은행은 금리를 인상하고 있으나 추세를 따라가던 은행을 압박하여 실질금리를 낮춤
8. 금리를 인하하여 연체율의 추이가 감소하면 내수 소비를 조금이라도 살려볼 수 있을 수 있음
9. 문제는 90일 이내 돌아오는 ABCP 대출 만기액 50조를 상환하려면 현금유동성이 좋은 기업은 괜찮겠지만 안좋은 기업은 자산매각이 필요함
10. 차주 한국은행 금리발표에 금리 상승이 가능하다면 원달러상승폭을 줄이거나 방어하는데 용이하겠지만 ABCP 대출 만기, 가계부담 완화를 위하 금리동결을 한 상태에서 다음달 미국 금리가 0.25~0.5% 오른다면 금리차 증가로 인하여 환율이 상승
11. 환율 상승으로 인하여 국내 수입되는 물품들의 가격은 증가하며, 이는 소비자 물가상승을 야기
12. 한국은행이 이를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면 결국 가계, 기업 쪽의 부담이 커지면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금리를 유지한다면 미국의 환율기조에 따른 변수인자를 통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음
13. 인구절벽 충격파로 성장성조차 없음.
성장 다끝난 나라인데 관광산업도 아닌 제조 중간 산업국가라 엑시트 전략밖에 없음.
장기적으로 50년 내 숏임
14. 한국 정치권은 경제 걱정없이 싸움박질하기 바쁨.
서로 싸움질 하다가도 적이 쳐들어오면 힘을 합쳐 적부터 막아야 하는데 한국은 상대방을 부수는걸 최우선 과제로 삼고있음
15. 경제는 중간 중간 한번씩 박살이 나줘야 장기적으로 건강해지는 속성이 있음.
이번에 안 터지면... 5~10년후 박살때 못 일어남.
현재 정부가 미분양도 사줘 부실채권도 막아줘... 이러면 나중에 정말 큰일 치룰 수 밖에 없음.
사람들은 어라?? 정부가 다 막아주네?.... 전세계 대부분 국가가..그러다 imf 구제금융 맞은 역사가 있었음.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