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개인 투자자의 리스크 관리 방법

작성자 정보

  • 이코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개인투자자가 성공적인 투자를 지속하려면,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리스크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합니다.

그럼 리스크란 무엇일까요? 리스크(risk)란 불확실성에 노출(exposure to uncertainty) 된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리스크란 불확실성입니다.
우리가 주식투자를 할 때 투자 종목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기대 수익률을 생각하는 것은 리스크 때문입니다. 신용스프레드가 생기는 이유도 리스크 때문이죠.

예시를 들자면 두 사람이 같은 금액을 투자해서 1억 원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한 명은 미국 국채에 투자해서 1억 원을 벌었고 다른 한 명은 정크본드에 투자를 해서 1억 원을 벌었습니다.

이 경우 투자 수익은 같지만, 다른 점은 한 명은 리스크가 적은 투자를 했고 다른 한 명은 리스크가 큰 투자에 투자를 했습니다.
정크본드의 경우 국채에 비해 리스크가 높은 투자 상품으로 알려져 있죠.

그에 비해 미국 국채는 상대적으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베타와 리스크 모두 상대적으로 큰 정크본드로 국채와 수익률이 같다는 건 수용한 리스크는 대비 리턴이 작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잘못된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시글들을 보면 몇천만 원을 매수하여 고작 몇만 원에서 몇십만 원의 수익을 내고 치킨값을 벌었다며 글을 쓰는 경우도 꽤 보았습니다.
그들이 대표적으로 수용한 리스크와 베타값 대비 효율적이지 못한 사례입니다.

그들 대부분이 푼돈을 벌려고 큰 금액을 배팅하고 손실이 발생할 때 손절을 하지 않아 결국 잘못된 판단으로 깊은 절망의 늪에 빠지게 됩니다.
같은 금액의 돈을 벌었다고 해서 같다고 볼 수 없습니다.

어떻게 벌었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투자자가 수용한 리스크도 같이 봐야지만 정확한 투자 실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시장 참가자는 자신이 수용한 리스크가 얼마나 위험한지, 리스크 프리미엄은 얼마나 받았는지에 대한 계산 없이 행동합니다.

시장의 분위기가 어떤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사람들이 환호하는때인  주식시장이 상승하고 과열됐을 때 리스크에 대해 과소평가하며 베타값을 늘립니다.

이때는 주식은 리스크에 비해 리스크 프리미엄은 매우 적습니다.
주식값이 비싸기 때문이죠

그야말로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의 상황입니다.
반면 하락장에서 주식시장이 침체되고 적은 리스크 대비 리턴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을 때는 정작 리스크를 회피할 생각만 합니다.

그들은 그래서 시장수익률을 이길수 없습니다.
잦은매매와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투자하기 때문이죠.

아마 이 글을 읽는 많은 사람이 저의 말에 반대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반대하시는 본인은 투자를 몇 년 하셨습니까?

운이 좋으면 1.2년 나름 나쁘지 않은 성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확률적인 것이니까요.

그런데 투자 기간이 5년 10년으로 늘어나게 되면 보통 살아남는 사람은 100에 열 명이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을 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십니까?

일반적인 시장참여자들은 분위기에 민감합니다.
그리고 추세를 따르죠.

그래서 이미 충분히 나올만한 리스크가 나오고 충분히 가격에 반영이 된 값싼 테슬라를 꺼리고, 메타 플렛 본즈를 매수하지 않았던 겁니다.

그런 반면 꾸준히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뛰어난 성과를 내는 투자자들은 확실히 존재합니다.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처럼 자신만의 투자철학과 자신만의 확고한 투자관을 가지고 뛰어난 통찰력을 가진 투자자들입니다.
그들은 주식시장의 사이클을 이해하고 자산 가격에 대한 판단을 시장의 유행과 관계없이 냉철하게 판단하며, 안전마진을 확보한 후 투자하기 때문에 변동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워드 막스가 말한 투자 사이클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지금이 사이클의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가격을 기반으로 파악하고 그걸 이용해 리스크에 비해 리턴이 큰지 작은지 예측해 보는 것도 하나의 좋은 접근법입니다.

물론 지금이 사이클의 어느 지점에 있는지 파악한다고 하더라도 더욱 극단으로 갈 수도 있기 때문에 확률론적으로 접근해서 승률을 높일 수는 있겠지만 승률이 높다고 해서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주식이 영원히 내리거나 영원히 상승하는 비이성적 상황이 생각보다 오래가는 경우도 많지 않고 끝이 있기 때문에 사이클상 가격하단에 위치할 때 매수한다면 높은 확률로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현명한 투자자가 다들 되어 오랬동안 살아남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