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당장 전세대출과 전세제도를 퇴출시켜야.. 국민의 소비가 증가한다.
작성자 정보
- 넥스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20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소득대비 서울의 집값 거품이
일본 1980년대 후반의 거품보다 심하다는 통계치입니다.
그 원인은 전세제도와 전세대출입니다.
집값 이상 거품의 핵심요인.. 무한대 전세 대출~
부동산 투기꾼이 아닌
1주택자와 무주택자들(그 합은 95% 수준)은
현재의 집값 거품이 빠져서
소득 대비 적정 집값이 유지되어야
재산세, 종부세, 건강보험료, 연금보험료, 주거비가
매월 50~200만원 줄어들어서...
그 돈이
출산해서 자녀의 양육비로...
외식 / 상품 구매 등의 소비로...
이어져서..
대한민국 경제의 내수가 우상향합니다.
소득대비
과도한 주거비(소득의 40% 수준) 지출로
소비도 못하고
워라벨도 못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오늘입니다.
소수의
영끌 상투잡은 사람과
다주택 투기꾼들을
위해서
집값 상승의 원흉인
전세대출을 유지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습니다.
전세 대출과 전세 제도는
대출상환 능력은 1도 안보고
원금의 2배~10배의 레버리지 투자를 가능하게 해줘서
상승기에는..
투자금의 수~수십 배 수준의 횡재 수익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하락기에는..
순식간에 원금을 100% 날리는 것도 모자라서
수억 원 빚더미까지 선물해주죠..
물론, 모든 투자 행동에는 본인의 책임이 따릅니다만..
정부 정책의 과실률도 일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과도한 전세대출제도로 초거품 피크치를 올렸으며
둘째, 높은 경제성장률의 시대에서나 통했던 전세제도에 대한 규제를 전혀 하지 않은 과실도 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전세대출을 줄이고
5년 후에는 전세대출을 완전히 없애는 방향의 정책을
수립해 주세요.
그리고,
경제 성장률이 낮아진 상태에서는
전세 제도가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니
전세 제도 또한 규제를 점차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5~7년 후에는 전세제도를 불법으로 명시해서 퇴출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래야
젊은층이 결혼하고 아이도 낳고
외식도 하고
옷도 사고
자동차 구매 등의
소비도 합니다.
정부에서
전세를 일부 남기더라도
최저 생활을 위한
서울기준 5000만원~1억원 정도의 빌라 물건만
지원해주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의식주는 인권처럼.. 투기 수단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정책에서 방관하는 것은 가까운 미래에 범죄로 판결날 수도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