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근본적인 문제
작성자 정보
- 제라드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59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사람들이 가장 착각하는게 가계대출이 1000조가 넘네 이러지만 실상은 주담대 자체가 dsr, ltv로 인해 받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신용,소득 전부 중요하며 그걸 통과하고 ltv 50% 비규제는 최대70%까지 되는상황이기에 영끌이라는거 자체가 모순임.
지금과같은 dti 규제속에서 영끌 자체가 말이 안된다는 것임
부동산은 요 몇년 급등한것은사실이나 이것이 큰 문제점인지는 모르겠음
(다른나와와의 비교에서도 그다지 높지는 않음)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국가인데다가 시총 최상위권 수출기업들이 반도체 기업들이 있어서 그 기업들이 반도체 싸이클이 않좋을때 수출이 좃망하는데(지금처럼) 그러면 무역 적자 발생하고 그에따라 여러 소부장, 하청업체들도 몇년간 힘든 상황이 펼쳐짐.
미국이나 일본만봐도 포트가 굉장히 다양하고 몇개 기업이 힘들어도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기업들이 많은데 반해 우리나라는 특히 s들어가는 기업들이 무역흑자 적자를 좌지우지 많이 함.
세계 경기에 따라 등락하는 싸이클형 수출 산업인 반도체,자동차,조선,철강,석유화학에 대부분의 국가경제 비중이 실려있는데 이게 수십년된 경제구조 그대로임.
문제는 이 산업들은 많은 인력을 통해 돌아가는데 저출산에 직격탄 맞을 위험이 계속 높아짐
그렇다고 대규모로 국가 산업구조를 바꾸기도 힘듬.
이들을 대체할 엄청난 산업군이 단기간에 나오는것도 아니고 정치인이 주도해서 이 큰 공룡의 방향을 바꿀 수도 없으니...
저출산 인구감소에서 국가 경쟁력이 유지되려면 고부가형 산업이 생겨야 함.
답은 금융쪽에 가능성을 걸어야 함.
투자 겁나 잘하는 대형 헤지펀드 들이 많아져야 하는데 그러기엔 또 한국 국민들이 금융 문맹이거나 단타 리딩방형 투기를 좋아해서 갈 길이 너무 멈.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