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남의 말 듣고 투자하는 것은 망하는 지름길입니다

작성자 정보

  • 파니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밸류에이션 평가는 현재와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제거된 미래를 보고 하는거지

지금과 사업도, 환경도 다른 과거 어느 특정 시점에 근거해서
미래를 예측하는게 아닙니다.

과거 어느 시점에서 주가가 얼마로 폭락했다면
그때는 왜 그런 일이 발생했는지 복습 차원에서 반추를 해보는건 좋은 일이에요.

그런데 과거 어느 시점에서 주가가 얼마나 폭락했고
지금 얼마나 시간이 지나 주기가 돌아왔으니 또 폭락할 수 있다고
차트를 펼쳐 거기서부터 여기까지 줄을 긋고 예언을 한다?

그건 무당입니다.

이런 자들 특징이 뭐냐면 어떤 종목, 산업, 경제, 매크로 환경
디테일한 분석이 없고, 시장에서 가격을 매기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원인과 결과를 전혀 모릅니다.

월가의 애널리스트든, 국내 애널리스트든
모두 전문 분야, 거대 기업의 경우는 특정 파트만 맡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비싼 연봉 받으면서 모르는 걸 안다고 하면 안되니까요.
더 많은 지식과 정보가 필요하고 그걸 투자에 연결시키려면 철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니까요.

제대로 분석을 하려면 제네럴리스트가 아닌 스페셜리스트가 되어야 하거든요.
아니 둘을 겸비하더라도 일단 이거저거 다 할 시간도 없어요.

유튜버들 걸르라는게 그래서에요.

물론 유튜버들 중에서도 현업에서 훌륭한 커리어를 쌓았고, 그 경험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본인의 해박한 지식을 나눠주는 사람이 극소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다수가 그렇지 않은, 자기 전문 투자 분야에 대한 지식은 고사하고
보편적 일반 경제 상식도, 아니 애초에 남에게 뭘 설명할 인문 사회학적 기초 교양 자체가 안된
그런 사람들이 조회수와 좋아요와 구독으로 돈을 빨기 위해 듣기 좋은 사탕발림,
혹은 공포 심리를 자극하는 저주어린 예언으로 시청자를 현혹하는 겁니다.

슈퍼챗으로 복채를 빨고 파멸적 결말이 예정된 리딩방이라는 수렁으로 끌고들어가려는거죠.
블로거도 마찬가지고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에 대한 어떤 전문성도 보이지 않지만
무수히 많은 쓰레기 글이 정보성 글로 포장되어 올라오고 추천을 많이 받아 인기글에 올라옵니다.

그중에는 특히 가장 주의해야 할 것, 전문성이 없음을 감추고 분석가로 위장하기 위해
해괴한 차트 줄긋기로 세상 모든 종목, 지수, 환경 분석을 가장한 예언을 해내는 사기꾼들이 있어요.

저도 차트 봅니다. 선도 긋고요. 보조지표 분석도 철저하게 합니다.
그걸 해야 경향적 패턴을 참고해 들어오고 나갈 타이밍의 플레이어들 심리를 유추해볼 수 있거든요.

하지만 최종적인 타이밍 참고의 단계로 쓸때 유용한거지 아무때나 적용하는게 아니라 그렇습니다.
거기 매몰되다 보면 기껏했던 분석의 결과와 배치될 경우 결정에 혼란이 올 가능성이 높거든요.

애초에 종목을 분석하고 매수나 매도, 보유의 결정을 내리기까지의 중간 과정에서
차트가 기능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투자 방향을 완전히 정한 후 최적의 타이밍을 찾을때 쓰는거에요.

그 전까지는 해당 종목의 펀더멘탈부터 매크로까지의 각종 정보수집과 분석이 우선인거죠.

줄을 긋고 예언을 한걸 본 후 그걸로 이 종목에 돈을 투자해야지?
무당에게 속는겁니다.

하루에 이종목, 저종목, 한국지수, 미국지수, 환율, 국제금리
모두 척척 박사처럼 줄을 긋고 예언을 한다?

아주 제대로 무당이죠.

신내림 받은 무당에게 홀려서 작게는 내 투자 원칙이 흔들리고, 크게는 복채까지 뜯기며
소중한 내 돈과 투자기회를 날리는 불행한 일이 여러분에게는 일어나지 말았으면 합니다.

투자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내가 결정을 해야지
남의 눈을 빌려서 하는건 바람직하지 못해요.

재료가 될 정보들도 사실은 정보가 아닌 노이즈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잘 걸러내야 기회 상실이나 투자 실패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어요.

노이즈 중에서 최악인 줄긋기 무당, 특히 세상 모든거 다 줄그어서 예언하는 무당의 요설은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하다 못해 남의 눈을 빌려도 귀신들린 눈 빌리는건 좀 아니잖아요. ;;;

관련자료

댓글 1

ㅇㅇ님의 댓글

  • ㅇㅇ
  • 작성일
진짜 자기만의 투자원칙을 세우는게 중요한것같아요.. 저도 스스로 공부해야지싶으면서도 정보의 홍수속에서 쉽게 양질의 정보들을 접할수있으니까 떠먹여받는 식으로만 살았는데 경각심을 느낍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