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왜 하는걸까? 알려줄께
작성자 정보
- 아일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3 조회
-
목록
본문
연말정산은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해야 하는 일인데, 끝나고 나면 누구는 세금을 돌려받고, 누구는 더 내야 하기도 해.
그래서 이걸 "13월의 월급"이라고 부르기도 하지.
그런데 왜 우리는 매년 이 시기에 이런 일을 겪어야 할까?
연말정산이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한번 알아보자.
연말정산은 매년 초에 작년에 벌었던 급여를 기준으로 세금을 정산하는 거야.
즉, 1년 동안 받은 급여를 기준으로 실제로 내야 할 세금 금액을 확정하는 절차지.
그런데 이미 매달 월급에서 세금을 떼가고 있는데, 왜 또 연말정산을 해야 할까?
사실 회사에서는 매달 급여에서 세금을 원천징수하고, 우리에게는 세후 월급이 들어오고 있어.
문제는 이 원천징수 금액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거야.
회사에서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대략적인 소득을 추정해서 세금을 떼어가거든.
하지만 1년 동안 상여금이나 수당 같은 추가 소득이 생기면, 그에 따라 세금이 달라져야 해.
그래서 연말정산을 통해 정확한 소득과 세금을 다시 계산하는 거야.
예를 들어, 연봉이 4,600만 원이었던 사람이 상여금을 받아서 연봉이 5,000만 원으로 늘어나면, 세금 구간이 달라지면서 더 높은 세율로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어.
이런 변동 사항들을 반영하기 위해서 연말정산을 하는 거지.
반대로, 휴직이나 감봉으로 연봉이 줄어들었다면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어.
보통 회사에서는 세금을 미리 떼어갈 때 연봉을 조금 적게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
그래서 연말정산 때 환급받는 경우도 종종 있지.
하지만 환급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더 내야 하는 상황도 있어.
그래서 연말정산을 잘 챙기는 게 중요해.
연말정산을 잘 챙기려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잘 알아두는 게 좋아.
소득공제는 말 그대로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해주는 거고, 세액공제는 내야 할 세금에서 공제해주는 거야.
소득이 많을수록 소득공제가 유리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항목들이 많다 보니 세액공제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도 많아.
연말정산을 잘 챙기면 조금이라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
환급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최소한 더 내지 않는 게 목표잖아. 안그래?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