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웹 3.0과 탈중앙화에 대한 개념 정리

작성자 정보

  • 시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mg.jpg

 

 

탈중앙화란 무엇인가?
한 사람이나 한 집단이 네트워크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웹 3.0은 전통적인 서버 모델과는 다른 독특한 소유권 모델을 가지고 있다.

 

앱이나 웹을 호스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서버가 필요하지만, 웹 3.0에서는 중앙 기관이 아닌 많은 독립적인 참여자들이 서버(노드)를 소유하고 운영한다.

클라우드 업체에서 서버를 빌리는 것 역시 물리적으로는 분산화되어 있지만, 탈중앙화되어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서버의 원소유자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반면 웹 3.0의 노드는 분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탈중앙화를 추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인터넷의 미래와 사용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존 방식과는 기술적으로나 이념적으로도 차이가 분명하다.
웹 3.0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디지털과 관련된 모든 자산과 행동의 통제권을 중앙 주체가 아닌 실제 사용자의 손에 쥐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웹 3.0의 소유권 모델은 기술적으로 복잡하며 실현이 어렵다.

 

그래서 웹 3.0은 블록체인이나 암호화폐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참여자들이 노드를 잘 유지하고 안정적인 탈중앙화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개별 참여자들이 아무런 이득도 없이 자신의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서버를 유지할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따라서 이들이 잘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형태로 주어지는 것이 바로 암호화폐, 즉 코인이다.
그리고 이러한 코인은 발전을 거듭하며 인센티브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가 잘 굴러가기 위한 통화 역할을 하고 있다.

웹 3.0은

1)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화되어 있다.

2) 중앙 주체에 의한 허가나 신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3) 이런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화폐 기반의 경제가 존재한다.

관련자료

댓글 2

에이다님의 댓글

  • 에이다
  • 작성일
탈중앙화야 말로 웹3.0의 본질이죠.
나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나의 자유를 희생하고 나라에 소속되고 간섭받는 일이 점점 줄어들었으면 합니다.

호호님의 댓글

  • 호호
  • 작성일
웹3.0의 필수요소는 블록체인 탈중앙화가 아니라 프라이버시 개인정보보호입니다. 탈중앙화도 중요하지만 탈중앙화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이 있고 어려운것이 있습니다. 현재기술로썬 탈중앙화가 만능은 아닙니다.특히  처리속도문제가 개선되지 않으면 모든기술이 탈중앙화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것입니다. 퀀텀점프시대에는 문제가 없겠죠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