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과 웹2의 독특한 관계
작성자 정보
- 시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8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웹3과 웹2의 관계 : 경쟁과 공생
웹3과 웹2는 서로 대체하기보다는 경쟁과 공생을 반복하는 복잡한 관계라고 표현할 수 있다.
지금의 웹3은 Web2 없이는 존재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웹2 역시 웹3를 활용한 전환이나 신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고객과의 관계를 디지털로 확장하기 위해 NFT를 활용하고 있다.
프라다나 구찌와 같은 명품 브랜드는 이미테이션을 차단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의 롯데나 신세계는 글로벌하고 로열한 팬덤을 만들기 위해 PFP NFT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웹3은 기술적 수준에서 웹2의 제품과 서비스에 의존한다.
대표적으로 웹3 대부분이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노드를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면 자체 데이터 스토리지를 만들거나 투자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웹3 게임은 어떨까?
온전히 블록체인 위에서만 게임 개발과 운영이 가능하지는 않는다.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와 높은 비용 때문이다.
따라서 게임의 재미를 위해 웹2 기반에서 게임을 개발하고, 일부 요소들을 웹3로 만드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웹3과 웹2를 명확하게 구분하긴 어렵다.
웹2도 언제든지 신사업을 통해 웹3으로 전환될 수 있고, 웹3도 웹2의 구조나 BM에 영향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