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븐코인) HTTP와 IPFS의 차이점
작성자 정보
- 카우파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1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HTTP , 중앙저장방식
1.데이터를 저장한 서버주소를 찾아 정보를 불러옴
2.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불러올 수가 없음
3.일시에 유저가 몰리면 트래픽에 문제 발생
4.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중앙서버 필요와 비용발생
5.HTTP는 산업 표준화가 되어 있음
6.HTTP는 모든 조건에 접속을 지원함.
IPFS , 탈 중앙 분산 저장방식
1.암호화된 해시 값을 요청하여 정보를 불러옴.
2.서버에 문제가 생겨도 수 많은 노드에 저장되어 문제없음
3.일시에 유저가 몰려도 트래픽에 문제 없음
4.중앙 서버가 필요 없으며 IPFS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됨
5.IPFS 새롭게 시작되었으므로 저변확대중(규제필요)
6.IPFS는 HTTP를 통하여 접속 또는 IPFS 자체 셋업후 접속 가능
이러한 차이점을 갖고 잇습니다.
레이븐 뿐만아니라 여러 많은 코인들도 IPFS기능을
이용하여 탈 중앙화된 방식을 이야기하엿지만
증권성의 문제로인해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되엇거나, SEC로 부터 현재까지도
괴롭힘을 받고있는 중입니다.
레이븐은 증권성이 없다고 판단되며,
개발초기부터 누구나 참여가능하도록
채굴자들에게 보상으로 주어질수 있도록
노드를 오픈소스로 공유한 것입니다.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누구나 자유롭게
채굴에 참여가능하고, 초기개발자 물량 또한
존재하지않는 투명한 방식으로 관리되어 왔습니다.
레이븐은 IPFS이며, 고유자산을 등록할시 5RVN이 소각됩니다.
발행된 자산은 지구가 멸망하기전 노드가 유지되는한 평생 소유 가능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