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상장 전 NFT판매, 토큰 프리세일 투자 금지
작성자 정보
- 레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0 조회
- 2 댓글
-
목록
본문
처음에 상장을 아무것도 없이 하면은 유동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토큰 프로젝트들은 유저들한테 사전 판매를 합니다
코인 프라이빗 세일이라며, 지금 아니면 이 가격에 못살 것 같이 마케팅을 주로 합니다.
주택으로 따지면 청약과 같은 것이죠
NFT를 구매하면 스테이킹 보상률이 증가하고 코인 에어드랍을 해 주기 때문에 NFT를 구매하는 유저들은 상당히 많구요. NFT 가격이 최소 몇십만원부터 몇백만원까지 있고, 또 여러개를 구매할 수 있게 만들어 놨기 때문에 몇천만원을 쓰는 유저들도 있습니다.
여기에 상장가를 보통 1달러에 하겠다, 10달러에 하겠다 등으로 토큰 가격을 많이 부풀립니다.
그런데 정말 초기 코인이 이 가격에 상장이 될 수 있을까요?
가격대 방어가 되려면 수요와 공급이 맞아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거래소 상장이 되면 팔려는 사람만 득실대고, 구매하려는 사람은 볼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1달러에 상장이 되도 0.1달러, 0.00001달러, 0.000000001달러까지 계속해서 가격이 내려가죠.
결국 초창기에 투자한 사람들은 100만원 투자해도 10만원도 못건지는 상황이 오게 되버립니다.
거기다 재단이 먼저 그 코인을 매도해서 시세를 완전 폭락시키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요즘 코인 사기꾼들이 가장 즐겨쓰는 수법이 프라이빗 투자세일 사기인데, 만원짜리 코인을 천원에 판다?
그렇게 좋은게 있으면 본인들이 하지 왜 우리에게 권유할까요?
여태까지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을 지켜본 결과, 모두 이랬고 성공시킨 프로젝트는 한번도 못봤구요.
물론 모든 프라이빗 세일이 나쁜것은 아닙니다.
업비트의 폴카닷코인 아실 겁니다 .
폴카닷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프로젝트로 체인과 원활한 데이터를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웹 3.0 코인인데요
폴카닷 역시 0.3달러 즉 원화 기준 400원 정도의 프라이빗 세일을 진행했습니다
프라이빗 세일이 진행 목적은 바로 락업이라는 구조 때문입니다
주식에서도 장기 홀더들에게는 배당금을 지급하듯이 마찬가지로 락업을 통한 수개월 수년에 걸쳐 분할 매도 목적으로 프라이빗 세일을 진행하는 건데요
발행회사의 입장은 단타로 빼먹는 유저가 아닌 삼성전자처럼 장기 홀딩하는 유저들이 있어야 지속적인
우상향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폴카닷 프라이빗 세일 참여자들은 몇 년을 기다린 끝에 락업해제가 되어 매도가 가능했었는데, 그 시기 폴카닷 가격은 8천원~만삼천원 수준으로 상당히 비싼 값에 매도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가뭄에 콩나듯 성공하는 프로젝트가 있지만 대부분은 실패했습니다.
"업비트 상장"
"바이낸스 상장"
"프라이빗 세일"
"토큰 프리세일"
"토큰 유틸리티 NFT 한정 판매"
"물량 소진으로 곧 마감"
"이 방에 있는 회원들에게만 알려드립니다"
믿고 거르시면 됩니다.
수년간 지켜본 결과 토큰 상장 전 프리세일, 프라이빗세일, NFT 구매를 해서 성공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사기당한 사람은 수도 없이 봤지만 말이죠.
코인이나 토큰이 상장되기 전에는 반드시 무료채굴만 이용하는게 돈 아끼는 지름길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