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에게 가르쳐주는 이동평균선
작성자 정보
- 키키나비로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0 조회
- 2 댓글
-
목록
본문
제가 아들이 있는데 주식에 관심이 많습니다 .
그래서 이동평균선 기초를 가르치고 있는데 어려워서 말을 풀어서 이렇게 정리해봤어요.
♥이동평균선 : 특정기간동안 평균매수 가격을 나타내는 선
5일 : 최근 5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10일: 최근 1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20일: 최근 2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60일: 최근 6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90일: 최근 9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120일: 촤근 12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200일: 최근 200일동안 평균 매수가격
1) 방향: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 할 때 당연히 촤근에 산사람들이
비싸게 샀다는의미 그러니 5일 맨위에 200일이 맨 밑에 있다 .주가가 지속작으로 하락 할 때 당연히 200일이 맨위 5일이 맨 밑에 있다 .
*주가는 이렇게만 가지않고 항시 변동을 하게되는데 주가가 우상향가다 하락할때 단기선이 중장기선을 교차하면서 내려온다 이말은 촤근에 산 사람들이 중장기 기간에 산사람들보다 싸게 사고있으니 주가하락을 암시하고 있다 .
*반대로 주가가 하락이나 황보하다가 단기선이 중장기선을 교차하면서 위로 향하고 있다 .그것은 촤근에 산사람들이 비싸게 사고 있으니 주가상승을 암시하고 있다
2) 저항과 지지:
저항과지지 주가가 특히 횡보하고 있을때 예를들어 주가가 90일선에 걸쳐서 60일선을 몾뚧고 있다. 이것은 60일선에 산사람들이 본전이 가까우니 팔고있다라는 의미이며, 특히 주가가 하락했다 올라올때 본전아라도 건지자해서 자기가 산가격이 되파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이게 저항선이된다
반대로 주가가하락하여 예를들어 200일선에 걸쳐있다하면 200선에 샀던사람들이 주가가 내가 산 평단가에 오니 싸다생각하고 다시 사고나 , 과거에 200일선 가격에 수입을 본 사람들이 과거 수익 생각해서 다시 매수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이고, 그래서 이게 지지선 된다
3) 이동평균선 회귀본능:
주가가 하락하다 크게 상승할때 모든 이평선을 깨고 얼라가는 경우가 았는데 , 이럴때 모든 기간에 산 사람들이 익절하면서 다시 이평선쪽으로 끌어 땡기는 회귀의 특성이 있다 .(물론 그 회사에 호재가 겹칠때는 예외이다 )
주가가 상승하다 하락하여 장기선 200일 선을 뚧고 내려가는경우에는 그 가격에 산 사람들이 가격이 싸다하여 매수를 시작합니다.또한 과거에 200일선 근처 가격에 수익을 본사람들이 주가가 싸졌다하여 다시 매수한다. 그럼 이평선은 방향을 틀어 이동평균선 안으로 들어올라는 성질이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여름방학님의 댓글
- 여름방학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