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성공하기 위한 방법 정리
작성자 정보
- 브요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08 조회
-
목록
본문
주식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한 가장 기본 조건은 자신의 투자철학이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아래 글은 상당히 어렵다고 느끼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종목을 하시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이정도는 알고 계산할줄 알아야
변동성에 가슴 졸이며 주가만 바라보는 일이 없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계산조차 못하기에 개미들은 수익은 작게.손실은 크게. 이 굴레를 못벗어나는 겁니다.
내가 편입한 주식이 몇%가 오를지 계산도 되지 않은채 편입을 하니 큰 수익을 볼 종목은 적은 수익에 팔고
망할 주식은 강제 존버를 하게 되는 것이죠.
여러분은 저보다 훨씬 들어갈수 있는 종목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저보다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지요.
이유는 시총이 작은 종목도 여러분은 편입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전 시총이 작은 종목은 매수 매도시 상승 하락을 주도하게 되므로 들어갈수가 없습니다.
시총 500억짜리에 50억 100억이 들어가게 되면 호가창이 소화가 될까요?
여러분은몇십 몇백 몇천 몇억이기에 가능하시다는 겁니다.
자 본론 시작하겠습니다.
기업의 가치는 무엇으로 상승하는가?
기본적으로는 경제성장률+물가 상승률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코크라는 회사의 주력상품이 환타가 있습니다.
환타는 시장에서 한개에 천원에 판매되는데요.
한개를 팔때마다 100원이 남습니다.
내년이 되서 경제 성장률은 5%였고 물가는5%상승 했습니다.
환타는 물가 상승률 5%의 요인으로 한병당 1050원으로 인상됐고
경제성장률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5% 상승 되었습니다.
기업의 가치는 자연스레 11%이상 상승되는 구조입니다.
또한 환타의 히트로 인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자금이 마련되었고
쿠키를 새롭게 출시하여 수익이 창출되었습니다.
그부분에서 기업의 가치는 올라가고 주가는 그만큼 상승하게 됩니다.
이것이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는 (주가가 오르는) 요인입니다.
모든 국가에서 인플레를 억제하면서도 적당히 오를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주는건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함이죠. 자본주위에서 가장 위험한건 금융위기보다도 디플레이션입니다.
여기까지 이해 되셨죠?
그렇다면 기업의 현재가치는 무엇으로 판단 할것인가?
현재 주가가 싼지 비싼지.적당한지는 무엇으로 판단 할까요?
두가지 경우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기업의 이익창출은 영업으로 인한 이익인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년간 영업이익 * ROE(X10)= 적정주가.
이는 대부분의 슈퍼개미들이 기본적으로 산출하는 공식입니다.
당기순이익으로 곱해주는 방법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위 방법입니다.
(당기에는 자회사, 일시적인 부동산 매각등이 포함될수 있어서 잘 보셔야 합니다.
매년 꾸준한 자회사의 이익이 반영된다면 당기순이익으로 계산하셔도 됩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2019년도 영업이익 277,685억원 ROE 8.69 x 10 = 86.9
이둘을 곱하면 24,130,826.5 억원. 현재 시총 3,247,562억원. 현재가치보다 약 0.134배
카카오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해 보면
12,015.08억원 현재 시총 285,500억원. 현재 시총이 현재가치보다 약 24배
마이크로소프트를 예로 들면
1,803,455,000,000달러 현재 시총 1,538,528,307달러 현재가치보다 시총이 약 0.853배
이게 기본 방식이구요.
그다음으로 많이 쓰는 방식이
ev/ebitda(감가상각비를 빼고 현금유입량으로 계상하는 방식)인데
이 공식으로 마이크로소프트를 계산하면 보수적으로 봤을때 대략 향후 4년간 280달러까지 오를수 있다는
수치가 나옵니다.
이외에도
pcr(감각상각비가 많은 회사를 판단할때)
psr(매출액이 들쑥날쑥한 기업을 평가할때)
gp/a(부채많은 회사를 판단할때)
dcf(현금흐름과 미래현금흐름으로 판단 할때)
rim(이것으로 계산하면 살 주식은 사양산업뿐이라는..)
등과 같은 평가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적정주가를 판단한 후 멀티플을 적용을 해줘야 하는데요.
각자의 판단으로 멀티플 값을 해당 종목에 몇을 줘야 하는지에 따라 미래 가치는 크게 변화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를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등의 roe평균값인 20으로 떨어질것으로 본다면
마이크로소프트는 고평가 주식이 되는 셈이구요.
3년 5년 10년의 평균 roe값을 기준으로 적정가치를 산출한후에
미래에 이 평균 roe값을 토대로 난 몇으로 멀티플을 적용할것인가(roe를 몇으로 볼것인가)여부가
미래기업적정주가의 최대 변수입니다.
제가 여러분에게 정 자신없으면 삼성전자만 매입하시라고 말씀 드린 이유를 아시겠는지요?
아주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삼성전자의 주식은 향후 10년간 2.5~3배 20년간 7~8배이상은 오를것으로 생각됩니다.
네이버 카카오등의 종목은 경쟁 업체가 등장 하면 매도를 하는게 좋아 보이는 이유이구요.
독점이 주는 혜택으로 카카오는 이미 24배의 시총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분기별 실적이 발표되면 종목을 스케닝 하세요.
대강 훓어보는데에는 크게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습니다.
종목당 초보는 10분. 숙달되면 1분정도면 스케닝이 됩니다.
그렇다면 국내증시에만 2000여개 미국에만 만여개의 종목이 있는데
그걸 어느 세월에 다 분석할까?
전 23년간 국내증시상장종목중 대략 1200개 종목에 대하여 자료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은 대략 90개 종목정도.
국내 모든 종목을 스케닝 하는건 가능하지만 분석한다는건 실로 어렵습니다.
효율성도 떨어지구요.
탑다운 방식과 보텀 업 방식이 있습니다.
과거처럼 주식시장이 조용히 흐르던 시절은 보텀 업 방식이 유용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사회는 변화의 흐름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것에 적응 하기 위해서는 탑다운 방식으로 종목을 분석해야 합니다.
산업군(섹터)을 먼저 선정하고 그 섹터에 속한 종목들을 하나씩 스케닝한후
조건에 부합되는 종목을 다시금 분석하는 것이죠.
일단은 섹터의 대표 종목들을 먼저 보세요.
종목의 평가자료를 신뢰할수 있는 수준에서 이것저것 읽어보세요.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왠만한 개미투자자들은 반도체공정을 달달 외우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의 종류도 달달 외우고 있습니다.
반도체소재부품회사나 스마트폰 부품생산 업체에 투자할려면 알아야
그 기업의 기술력이 어느선인지, 향후 시장 점유율은 어찌 될지 판단이 되기 때문이죠.
네이버증권에서 아무회사나 눌러봤습니다.
토탈소프트 당첨.
동사는 해운 항만 물류 산업분야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8년 11월 1일에 설립되었음.
주요사업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시스템, 선박 탑재용 컴퓨터, 선사용 양적하시스템, 항만 커뮤니티 시스템, 다목적터미널운영시스템 개발을 영위함.
2020년에는 SaaS 버전의 Cloud CASP를 개발하여 국내외 선사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영업을 계획하고 있음.
이걸 읽어보시고 어떤 생각을 하시나요?
해운항만 물류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터미널운영시스템, 선박 탑재용 컴퓨터, 선사용 양적하시스템, 항만커뮤니티 시스템
다목적터미널운영시스템. SaaS버전의 클라우드 CAPS
이 단어들이 의미하는 것과 각 분야별로 이 회사의 국내 점유율.해외점유율. 매출분포도.
이 회사의 국내경쟁사와 해외경쟁사를 아시는분 계신가요?
이걸 다 찾아봐야 종목을 판단하기 위한 기본 공부를 하신게 됩니다.
이모든걸 다 찾아서 공부하셔야만 실패하지 않습니다.
아니 그래도 간혹 실패합니다만, 내가 앞으로 이 종목을 매수했을때 향후 몇년간 몇%의 수익률을 줄지
알고 들어갈수가 있는 겁니다.
이제 시작이지만 한번에 너무 많은걸 올려드리면 읽는분이 힘드실듯 하여 오늘은 여기까지 합니다.
제게 수많은 분들이 종목선정은 어떻게 하냐고 물으시지만
오로지 공부뿐입니다.
전 직장이 너무 좋은곳이라 몇년 안남은 퇴직까지 버틸 공산으로 직장 생활을 하고 있지만
종목 분석에 시간이 부족하여 하루 6시간 잠을 자본적이 없습니다.
없는 돈으로 몇백억 만드실려면 그냥 되는건 아닙니다.
전에도 말씀 드렸지만 그럴 자신도 그럴 시간도 없는 분이라면 개별종목은 하지 마시거나
소액으로 재미로 하세요.
펀드 좋은거 요즘 많습니다.
요즘 유튜브 광고 많이하는 모어플 자산관리 창업자도 아는 분이지만
그런식으로 자산배분 컨설팅해주는 회사들도 많습니다.
그중에 잘 고르시면 나름 안정적인 복리 가능하세요.
난 1억도 안되는 돈으로 정말 주식으로 성공하고 싶다.
천만원으로 백억 벌고 싶다 하는분들.
1억으로 천억은 만들어야지 하는 분들.
이 악물고 공부하세요.
일전에 뉴스 보면서 매입하는건 초보들이 하는겁니다.
뉴스나오기전에 종목선정해놓고 뉴스 나오길 기다리는게 진정한 실력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부밖에 길이 없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