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올바른 주식 물타기 시점

작성자 정보

  • 닐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속칭 물타기.

1. 장기투자자는 물타기 하는게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

장기투자자는 보유한 종목을 추가매수하기로 하였다면 정해진 기간에 따라

정해진 수량 혹은 자금만을 사용하여 추가매수를 하는게 바람직합니다.

가령 월급날이 매달 10일이라면 10일 11일 정해놓고 장초반.장중반.장후반.

이렇게 시간대까지 정해놓고 그 때 꾸준히 매수를 해가시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주가의 높낮이에 신경을 안쓰게 되고 장기적으로 평단은 맞춰집니다.

변동성에서 어떨떈 최저점 가까이에서 사지기도 하고 중간에서 사지기도 하고

고점에서 사지기도 하므로.

현재 상태에서 주가의 죄저점 매입을 시도한다는건 상당히 위험한 발상입니다.

 
2. 기타 투자자들.

자신이 보유한 종목의 주가가 하락하면 속칭 물타기를 하시는데요.

개인이 종목을 매수할때는 하락시 매수하는게 아니고 하락이 완전히 끝나고 주가가 확실히

오른다는것을 확인하는 시점에 추가매수를 하는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

자신이 예상하기에 이 정도면 아주 저렴하다라고 생각하지만

하락시 주가의 최저점을 미리 정확히 아는 사람은 세상에 존재할수 없습니다.

개인의 현금자산이라는것은 한정적인데 하락세에 계획없는 추매를 하시게 되면

비중조절 실패는 물론이고 그 종목이 장기간 하락후 박스권일때

묶인 자금으로 인하여 기간이익에서  상당한 손실을 맞이하게 됩니다.

주식시장의 격언중에 발목에 사서 어깨에 팔아라.라는 말은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발목은 하락이 멈추고 바닥에서 다시 올라간다는것을 뜻하고

고점(머리)을 찍은후 하락세가 확실할때(어깨) 매도를 하라는 뜻입니다.

그런 방식을 자신의 습관으로 만들면 매수시 계획적인 매수가 가능해지고

매도시 최상의 수익이 보장되는 것입니다.


자신의 종목 주식보유량이 기관급이시라면 위의 방식과는 다르게

기관식 매매를 해야겠지요.

기관(세력)의 기본 매매방식은 하락할때 지속적으로 분할 매수.

상승시 지속적으로 분할 매도입니다.

일반 투자자가 기관식 매매를 하시면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