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2023년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작성자 정보

  • 손짓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질 나쁜 돈'은 유행을 따르는 개인들이 너도 나도 투자하겠다면 참여하는 강세장일 때 주식시장이 들어와 거품을 만든다. 반면 '질 좋은 돈'은 투자 고수들의 돈이다.

질 좋은 돈은 대부분의 '질 나쁜 돈'이 두려움과 공포로 주식시장을 빠져나가고 주식시장이 나쁠때 들어온다. 고수들은 고점대비 -20%이상 하락한 약세장은 안정성은 훨씬 더 좋고 수익 확률이 더 높아 투자한다.

그들은 큰그림으로 멀리보고 대다수 개인들과 반대로 투자한다.

주식 투자가 유행해 너도나도 참여하면 실제 가치보다 더 가격이 올라 주식과 주식시장에 생긴 거품은 갑작스런 어떤 요인으로 결국 꺼지게 된다.

재작년 강세장은 코로나 전세계 확산으로 예상되는 경기침체를 미리 막기위해 0%까지 금리를 급격히 낮춰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결과였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선제조치인 급격한 금리인하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심화된 인플레 억제조치 빠른 금리인상은 주식시장의 긴 약세장을 초래했다.

하지만 계속 금리를 올릴 수는 없다. 금리인상이 계속되면 '경기침체'를 피할 수 없고 미국을 선두로 다시 세계 다른 국가들도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내릴 수 밖에 없다.

금융시장은 늘 이런식으로 경기호황과 침체가 순환되어왔고 그 조치로 금리인하와 금리인상도 반복되어왔다. 투자의 고수들이 투자의 역사를 반드시 공부해 기본 지식은 알라고 하는 이유이다.

요컨데 역사는 반복되지 않지만 '주식시장'과 '투자'의 역사는 비슷하게 반복된다는 것이 팩트이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 주식시장은 폭락해 반토막이 났고 은행들은 앞다퉈 금리를 인상했다.

그 당시 나는 예금도 하고 적금도 하고 펀드도 했었다.
2년 뒤 결과는 예적금 완패였다.

펀드수익이 3배는 더 높았다. 지금 6% 모저축은행 예금가입하려고 새벽부터 가서 기다린다는 뉴스가 나온다. 금리가 지속적으로 급하게 올라 내년 상반기 경기침체 가능성이 90%이상이라고 한다.  
2024년 금리가 여전히 높을까?

금리가 높을 때 예금, 적금보다 투자를 해야 1~2년 뒤 수익이 훨씬 더 높다. 예금 금리는 어느 정도 오르다 1년 정도 뒤 다시 하락하게 된다.


성공하는 투자 비결은 '무리를 따르지 말것!' 이라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