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리츠 용어 및 리츠 투자 개념 정리

작성자 정보

  • 네토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일반 증권계좌 말고 개인 연금저축계좌로 리츠 주식을 모아가는 것도 좋은 방법



리츠는 이익의 90% 이상을 의무적으로 배당해야해서 배당률이 쌘 편이고 임대료가 수입원이라 그나마 안정적



리츠 용어



FFO(리츠 운영 수입) : EPS(주당순이익)과 비슷한 개념,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AFFO : 리츠의 실질적인 배당 지급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일반적으로 리츠는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은 대부분 100%가 넘어가므로 FFO보다 AFFO로 기준)

P/FFO : PER와 비슷한 개념,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나타내는 지표

NAV(부동산 순자산가치)

P/NAV: PBR과 비슷한 개념, 주가가 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 나타내는 지표(1보다 작으면 저평가)



임대차 계약방식에는 Gross lease와 Triple net lease 가 있는데 투자자인 우리 입장에서는 트리플넷리스방식이 유리함, 건물수리,유지관리비 등 비용을 임차인에게 다 전가시키는 구조이므로.


리츠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높은 배당

엄청난 수익률

포트폴리오 밸런스

인플레이션 방어


"리츠가 주식보다 좋다"가 아니라 주식에 크게 뒤쳐지지 않는 수익률을 내면서 배당이 꾸준하고 높다

예를 들어 리츠에 입주해 있는 애플이 영업실적이 안좋다고 입주하고 있는 사무실 등f을 바로 처리 할 수 없고,

임대료에 대한 비용들은 웬만해선 뺄 수 없다, 실제로 파산을 했다고 하더라도 주주,채권자보다도 직원/임차인이 우선순위가 높다.


나이가 젊을때는 리츠주보다는 조금 더 배당성장 및 주식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이나 ETF를 구매하는 것이 좋다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당장 배당금을 생활금 등으로 사용해야 한다면 리츠주 및 배당주를 추천한다.
그러나 리츠주등은 코로나시기에 배당컷, 배당중단등 리스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안전성을 생각하신다면 적절히 리츠, 배당주, 배당성장주, ETF등 분산해서 투자하시는것이 가장 좋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