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금융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5개
  • 게시물 447개
  • 9/45 페이지 열람 중

코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인젝티브 코인은 스캠이 아니야.인젝티브는 2020년부터 존재해온 블록체인으로, 루나 클래식과 함께 있었지. 물론 루나와는 달리 인젝티브는 꾸준히 성장하며 탄탄한 기반을 다져오고 있어.최근에도 많은 사람들이 인젝티브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이지.인젝티브는 코스모스 SDK 기반 블록체인으로,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거 다들 알지?유동성이 풍부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인젝티브는 디파이 솔루션에 특화된 블록체인으로, 개발자들이 쉽게 디앱을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툴과 모듈을 제공하고 있지.인젝티브…

    루펠 2024-07-07 16:08:57
  • 온체인 데이터가 아닌 거시 경제 측면에서 비트코인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2025년이 2024년보다 더 기대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스탠다드 차터드의 애널리스트 제프리 켄드릭의 의견을 한번 보죠. 켄드릭은 외환과 매크로 경제 전문가로, 그의 경력을 살펴보면 모나시 대학에서 경제학 학사와 호주에서 MBA를 취득한 후, 전통 금융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인물입니다. 현재 스탠다드 차터드의 외환 리서치 헤드를 맡고 있습니다.켄드릭은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올해 8월에 비트코인이 신고점을 돌파할 …

    헬리오스 2024-07-06 02:35:00
  • 클레이튼 프로젝트에 대해 얘기하자면, 만약 클레이튼이 미국에서 탄생했으면 기술적 피드백이나 생태계 피드백 등을 더 많이 받고 더 잘 성장했을 거 같아. 지금 클레이튼의 가격 문제랑 이에 따른 투자자들의 피해는 상당하지. 처음 유저들을 끌어들일 때 가격 상승에 대한 희망을 주는 측면도 있었고, 이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에게는 신나는 일이기도 했어. 비트코인은 항상 다른 암호화폐와는 다르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잖아.이더리움이나 다른 암호화폐와 비교할 때 비트코인은 금융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명확해. 반면, 이더리움과 솔라나 같은 코인은 비즈니…

    나츠 2024-07-05 16:00:39
  • 코인 시장이 굉장히 많이 변했어요. 예전에는 외부에서 크립토 시장을 잘 몰라서 문제였다면, 요즘은 내부 사람들이 시장을 객관적으로 보지 못해요. 옛날에는 나이가 많고 제도권 금융에 있는 분들이 편견에 사로잡혀 크립토 시장을 봤다면, 요즘에는 크립토 시장에 있는 분들이 약간 꼰대화가 되어서 시장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아요. 2017년에 처음 들어왔을 때 설명했던 비트코인의 장점이나 흥행 이유가 지금도 똑같아요. 그 사이에 많은 게 바뀌었는데, 업데이트가 덜 됐죠. 예를 들어 밈 코인의 성장 같은 게 키워드 중 하나인데, 왜 이렇게 잘…

    시그너스 2024-07-05 15:50:19
  • 요즘 시장에서는 사람들이 너무 똑똑해졌습니다. 2017년과 2018년에 코인을 시작한 사람들은 별생각 없이 시장에 들어왔지만, 2024년의 투자자들은 이제 주식처럼 분석하고 판단합니다. 그 결과로 2022년에는 사람들이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지금 시장에서 돈을 벌고 있는 사람들은 벤처 캐피탈 밖에 없다는 겁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이념인 공평함, 공정성, 탈중화와는 완전히 반대되는 상황입니다. 벤처 캐피탈이 초기 단계에서 토큰을 저렴하게 구매하고, 상장 후 큰 이익을 보는 구조가 불공평하다는 인식이 퍼졌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

    나제트 2024-07-05 15:20:38
  • 문제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이 무엇인지,1불도 안하던 디지털 쪼가리가왜 개당 5천만원을 찍고 1억을 넘보고 있는지왜그럴까 하는 생각조차 않하는 사람들이여전히 많다는 것입니다.외국으로 송금 한번 해보신분이라면이 디지털 쓰레기가 얼마나 큰 인류에 혁명을 가져올지감히 상상조차 되지 않을 정도일겁니다.그리고 특히 돈많은 부자들흔적도 남기지 않고 작은 USB하나에수천억 수십조를 담을 수도 있습니다심지어 외국으로 가져나가서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많은 부자들과 많은 기관들이이런 내재가치를 깨닫는 순간 비트코인 1개…

    고점모름 2024-06-27 22:44:06
  • 김치에서 만든 김치코인 뿐만 아니라 김치 점유율이 높은 코인도 김치코인으로 분류된다.김치 점유율이 40% 넘어가면 매우 위험하고 60% 이상이면 사실상 글로벌화 실패한 설거지 김치 코인이라 할 수 있다.그렇지만 김치 코인중에서도 분명 살아남을 코인도 있고, 뛰어난 코인들도 있다.개인적으로 순도 100% 김치코인은 피해야 한다고 본다.토카막네트워크, 히포크랏, 메타디움, 모스코인, 센티넬프로토콜, 아하토큰, 마일벌스, 옵저버 코인들이 대표적이다.바이낸스에서 상폐된 넴, 웨이브 코인은 말할 가…

    초밥 2024-06-18 10:04:31
  • 비트코인 현물ETF가 상장해 마침내 전통 금융 시장에 들어섰습니다.미국에서 제도권 투자 상품으로 인정받은 것입니다.눈치를 보는 다른 나라들도 순차적으로 따라할 것이며 세계의 돈이 비트코인으로 몰려오는 것은 기정 사실입니다. 전 세계 인구는 80억명가량 됩니다.그런데 비트코인은 고작 2100만개로 수량이 제한되어 있는 자산입니다.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데 비해 공급은 앞으로 계속해서 줄어듭니다.그래서 비트코인은 결코 팔아서는 안되는 자산이며 현재는 비트코인 모으기 전쟁 구간이라고 생각중입니다.하지만 낙관적인 시선만 존재하는 것…

    루시 2024-06-15 19:01:44
  • 일반적으로 밈코인은 그 어떤 기술도 없이 재미만을 위해 탄생합니다.하지만 밈코인을 가벼운 마음으로 구매하는 것은 그리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최소한이라도 쓰임새가 있는 유틸리티성을 갖춘 코인을 구매하는게 좋습니다.강세장에 많이 오르는 코인들의 특징을 보면 왜 그런지 나타납니다.강세장에는 디파이 코인과 게임 코인이 유독 가격이 많이 오릅니다. 왜 그럴까요?코인 시장의 강세장은 4년주기로 한번씩 찾아옵니다.이전 강세장과는 달리 2021년 강세장은 확연히 다른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바로 게임 코인과 디파이 코인들이 눈에 띄게 많…

    유하연 2024-06-14 11:37:53
  •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라는 개념은 이더리움의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에 의해 대중화되었지만, 실제로는 닉 사보(Nick Szabo)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닉 사보는 "왜 계약서를 디지털로 작성하지 못할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스마트 계약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요나탄의 고스트 프로토콜(GHOST Protocol)과 닉 사보의 스마트 계약 개념을 결합하여 이더리움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은 가스비와 속도 …

    판티니 2024-06-12 17:12:47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