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파(KAS) 코인의 비전은 상상을 초월한다
작성자 정보
- 테일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5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시세 변동성이 큰 시기라 다들 오락가락 하실텐데요. 카스파의 비전을 보시려면 장기보유하셔야 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신동으로 태어난 아이를 성인이 될때 까지 우리가 키워줘야 합니다. 카스파는 단순한 코인이 아닙니다.
그 비전은 우리의 생각보다 큽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생태계의 실전판이 카스파입니다. (중앙화 코인은 제외)
비트코인의 탈중앙화와 보안성 그리고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렉 생태계는 단지 이상적인 아이디어로 스케치된 형태이며, 그것을 실제 실용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로 전 세계인이 자유롭고, 값싸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카스파의 생태계로 리노베이션 되어야 합니다.
카스파 에코 재단이 이번에 창설된 계기도 그러합니다. 러스트와 덱나이트 임플리케이션 까지는 커뮤니티 펀딩으로 가능하였고, 기타 소소한 개발 펀딩으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하지만 스마트컨트렉과 토큰나이제이션은 생각보다 비용이 아주 많이 들어갑니다.(개발, 개발인력, 마케팅, PR, 등등) 그리고 좀 더 빠른 의사결정과 진행을 위해 재단이 들어온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왜 KEF가 무슨 효익으로 카스파를 투자할까? 라는 의문이 드실겁니다. OKX와 아이스리버 아식 제조사가 주요 투자자인데 그들은 카스파에 대해 어떠한 것을 얻으려할까요? 단지 순수한 펀딩? 말이 안 되죠. 그들은 우선 각자의 목표가 뚜렸합니다.
먼저 아이스리버는 카스파 아식의 문을 먼저 연 업체이며, 사실상 카스파로 재미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카스파를 위해 순수한 기부를 한다? 아닙니다. 일단 비트메인과 골드쉘 같은 경쟁 아식 업체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경쟁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과감하게 카스파를 지원하면서 회사 마케팅을 재단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그 동안 사이드로 카스파를 채굴하여 상당한 카스파를 보유한걸로 알며, 카스파 고래 홀더로서 시세를 계속 올려야 하니 커뮤니티 펀딩도 공식적으로 크게 지원하는 것입니다.
OKX는 그렇다면 무엇을 원할까? 엄밀히 말하면 OKX벤처스입니다. OKX web3 지갑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미 지난번에 카스파 NFT 토큰 이벤트를 했던 것 처럼 거래소들도 이제 web3지갑, 덱스쪽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그쪽을 메인 비지니스로 이어나가려 합니다.
이미 코인베이스 등이 엄청난 투자로 웹3 지갑을 론칭하였고, base 기반의 토큰이 현재 트렌드를 키우며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 또한 주류 마케팅 수법이죠. (마케팅이 나쁜 건 아닙니다.)
아무튼 OKX는 카스파의 스마트컨트렉 개발을 지원하여 자신의 플랫폼에 메인 체인으로 등록시킬 겁니다. 이것이 확장되어 다른 web3기반들이 받아드린다면 이때껏 먹고 살려고 이더리움에 종속되었던 레이어 2들도 모두 날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더리움도 위협을 받기 시작할 겁니다. (솔라나 같은 중앙화코인은 계속 생략합니다.) 레이어2, 레이어3 같은건 그때되면 필요없습니다. 카스파 위에서 뭐든지 할 수 있습니다.
정리를 하자면 카스파 에코 재단이 생기면서 또 한번의 개발 호재가 터졌습니다. 그렇다고 바로 시세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카스파는 어떠한 호재보다는 비트처럼 토크노믹의 스케줄에 따라 반감기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생산자의 물량이 얼마나 시장에 나오느냐가 더욱 중요하죠. 비트와 다른 점은 4년마다 한번에 반으로 줄어드는게 아니라 1년마다 반감기인데 그것을 12개월 할부로 나눠서 줄어드니 물량의 감소가 절벽이 아니라 서서히 줄어드는 방식이라 시세가 지지부진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더욱 안정적인 우상향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매수, 매도자가 큰 쇼크 없이 거래 할 수 있다는 의미이죠.
마지막으로 저는 현재 시장을 이렇게 평가합니다. 비트가 오르면서 또 다시 전국시대 장세가 되었다.. 새로운 토큰들도 쏟아지고, 각종 피라미드식 다단계인 런치패드, 노드들이 쏟아져 나오고, 프리세일링, 에어드랍 등 지난 불장에서 써 먹었던 방식으로 다시 한번 사람들을 꼬득이는 것 같습니다.
RWA 등 테마를 만들어 다시 한번 시장의 붐을 일으키려 합니다. 물론 아이디어는 좋습니다. 하지만 리얼 월드 에셋을 토큰화 하여 실제 거래하려면 어떤 기반으로 해야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무엇보다도 토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본이 되는 코인과 네트워크가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봐야 합니다. 사견으로 미래이긴 하지만 카스파 기반 그리고 카스파 표준으로 자리매김 하여 이 시장이 어느정도 정리될 것 같습니다.
이제 연습은 끝났습니다.(연습이 더 길어질 수는 있습니다.^^) 익명의 사토시와 어린 비탈릭은 이 업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지만 결국 테스트였을 뿐 실제 활용될 수 없습니다. 업계의 표준화 그리고 전 세계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생태계는 거의 모두 카스파 기반으로 재정비 될 것입니다. 이는 'Kaspa Renovation' 으로 불리우게 될 것 입니다.
토양이 좋아야 나무가 자라나서 열매가 열립니다. 2차선이 아닌 12차선 고속도로가 열려야 도시가 발전하고, 유통이 원활히 됩니다. 모뎀이 아닌 기가급 인터넷이 있어야 전 세계가 연결됩니다. 카스파는 기본 중의 기본이며, web3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기초 인프라가 될 것입니다. 속도, 확장성, 보안성, 그리고 신뢰성 등 모든 기반이 튼튼합니다. 카스파 이번 패러다임 전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스탠다드가 될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