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레이어2 주목해 볼만한 코인들 총정리
작성자 정보
- 이오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1 조회
-
목록
본문
레이어 2 코인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중요한 것들부터 좀 생소한 것들까지 다양하게 있어. 곧 이더리움 시즌이 올 거라 보고, 최소한 얘네가 뭐하는 애들인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알고 들어가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설명해 줄게.
시가 총액 순서대로 봤을 때 순위는 다음과 같아:
물리곤(MATIC) 19위 - 가장 대표적인 이더리움 레이어 2 체인이고, 30만 명 이상의 일일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어. 시가총액도 최고야. 그런데 욕은 제일 많이 먹어.
맨틀(MNT) 33위 - 탈중앙화를 가장 큰 목적으로 한 레이어 2로,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롤업 방식과 모듈 방식을 도입해서 기존 레이어 2보다 기술적으로 강한 편이야.
아비트럼(ARB) 35위 - 종합 생태계를 가지고 있고, 하루 수익이 10만 달러 이상, 일일 활성 사용자 수가 12만 명이 넘는 대중적인 레이어 2 체인이야. 시가총액 면에서는 물리곤에 밀리지만, 생태계는 넘어서고 있어.
이뮤(IMX) 40위 - 게임 인프라를 위해 설계된 게임 전용 레이어 2야. 신규 게임 200여 개가 출시되었거나 대기 중이고, 게임들이 대단해.
옵티미즘(OP) 45위 - 종합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옵티미스틱 롤업 방식의 대표주자야.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베이스 코인이나 월드 코인 등이 이 방식을 차용 중이야. 아비트럼의 가장 큰 라이벌이야.
스타크넷(STRK) 78위 - zk롤업과 옵티미스틱 롤업의 장점을 모아서 만들었어. 메티스랑 라이벌 관계인데 전망이 좋고 프로젝트도 늘어나고 있어. 메티스가 순위는 아래에 있지만 스타크넷과 커플링이라고 생각하면 돼.
zkSync(ZK) 109위 - zk롤업 방식의 진화된 형태야. 루프링(LRC) 등이 채택한 초기 zk라이트 방식에서 zk2.0, zk에라로 진화했어. 빠른 처리와 높은 가용성을 자랑하고, 다른 zk롤업 레이어 2들과도 호환이 잘 돼.
에이보(AEVO) 137위 - 옵티미스틱 롤업 방식의 진화된 형태로, 디파이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어. 바이낸스 런치풀에서도 다뤄졌어.
블라스트(BLAST) 150위 - EVM 호환 옵티미스틱 롤업 기반이고, 스테이킹 기본 수익률을 제공하는 등 다른 레이어 2와 차별화돼. 네이티브 일드 모델(Native Yield Model)을 제공하고, 블러 회사에서 만든 거 맞아. 최근 블러 하락의 원인이기도 해.
만타네트워크(MANTA) 159위 - 뭐가 많아??? 이건 알아서 찾아봐야 할 것 같아.
그 외에도 메티스(Metis), 루프링(LRC), 리스크(LSK), 카르테시(CTSI), 타이코(Taiko) 등 여러 레이어 2 코인이 있어. 여기까지 기억해 두면 정신 건강에 좋을 거야. 특히 물리곤, 맨틀, 아비트럼, 이뮤, 옵티미즘 같은 기존 강자들과 스타크넷, 메티스 등의 신규 레이어 기술주에 주목할 만해. 최근 상장한 zkSync나 타이코, 지금 저조한 블라스트도 신경 쓰고 있어.
올 연말 불장이 온다면,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나처럼 요상한 데서 돈 먹으려는 인간들이 있는 한 아주 많이 활성화될 거야. 이더리움에 들어가는 가스비는 어마무시할 거고, 이 레이어 2들이 이더리움 가스비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애들이라서 큰 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
이더리움 자체에서도 댕크 샤딩 업그레이드로 롤업 방식을 개선하고 있어. 연산과 함수 식도 공개되어서, 점차 다른 레이어 2가 등장하거나 기존 강자 아비트럼, 옵티미즘, 물리곤 등의 댕크 샤딩 업글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