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의 양적 완화·긴축과 알트코인 불장, 지금 어디쯤일까?
작성자 정보
- 토모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 조회
-
목록
본문
오늘은 QT(양적 긴축), Q(양적 완화), 비트코인 도미넌스, 이더리움 가격, 그리고 위험자산 시장 가격까지 한 번에 훑어볼 거야. 요즘 사람들 질문 중에 “연준이 깜짝 금리 인하하면 불장이 오는 거 아니야?” 이런 게 많더라? 결론부터 말하면, 불장의 시발점은 이미 지나갔어. 이제는 시장이 큰 방향 전환에 들어가는 구간이야.
QT는 연준이 시장에서 유동성을 회수하는 과정이야. 쉽게 말하면 연준이 그동안 사들였던 미국 국채나 모기지 채권 같은 걸 시장에 다시 내다 팔면서, 시중에 풀린 돈을 빨아들이는 거지. 이걸 하면 물가는 안정되지만 시장은 위축돼. 반대로 Q, 양적 완화는 연준이 국채나 채권을 사들여서 돈을 시장에 푸는 거야. 2020년 팬데믹 때처럼 말이지. 그땐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계속 커지면서 시장에 유동성이 넘쳤고, 그 덕분에 코인 시장도 활짝 폈었지.
이제 중요한 건 이 두 가지 사이클에서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야. 연준이 QT에 들어가면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확 올라가. 왜냐면 시장이 불안할 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비트코인으로 돈이 몰리거든. 하지만 이럴 땐 알트코인 시장은 힘을 못 써. 알트코인 불장은 오히려 연준이 Q로 전환하고,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내려갈 때 열리는 거야. 과거 사례들을 봐도 알트코인 불장은 항상 비트코인 점유율이 떨어질 때 나타났어.
지금 연준은 QT 막바지로 보이고 있어. 최근 5~6일 동안 350억 달러어치의 미국 국채를 매입했는데, 이게 양적 완화의 신호인지 아니면 다른 특별한 이유 때문인지는 이번 FOMC 회의에서 확인될 거야. 중요한 건 지금 물가가 완전히 잡힌 상태는 아니라는 점이지. 물가는 둔화되고 있지만, 연준이 금방 Q로 돌아서기엔 아직 부담스러운 상황이야. 따라서 양적 완화가 곧바로 나오지는 않겠지만, QT 종료만으로도 시장은 어느 정도 활력을 받을 수 있어.
그렇다면 “지금 알트 불장이 올까?”라는 질문엔 뭐라고 답할 수 있을까? 정리하면, Q가 나오지 않더라도 소수의 알트코인은 충분히 불장을 맞이할 수 있어. 다만 모든 알트코인이 오르는 시장은 아니야. 특히 기관 자금이 들어가고, 실사용 사례가 있거나, 온체인 데이터로 강력한 흐름이 확인되는 알트코인들만 기회를 잡을 가능성이 높지. AI, 밈코인, 게임파이, R파이, 그리고 히든 섹터 같은 영역이 최근 강한 상승세를 보인 것도 이런 맥락이야. 이 중 일부는 이미 200% 가까이 오르기도 했고, 아직 저점에서 대기 중인 코인들도 있어.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시장 전체의 화력이야. 양적 완화까지 나오면 그때는 시장 전반이 강력하게 움직이겠지만, Q 없이 QT 종료만으로 움직이는 시장은 강세 폭이 제한적일 수 있어. 이럴 땐 특정 알트코인만 날아오를 가능성이 높으니까, 코인 선택에서 더 신중할 필요가 있지.
사람들이 자주 묻는 “그럼 어떤 코인을 사야 돼?” 같은 질문에는 늘 같은 대답이야. 자신만의 기준과 원칙이 필요하다는 거야. 그 기준은 단순히 차트나 가격만 보는 게 아니라, 시장의 유동성, 온체인 데이터, 섹터별 성장성까지 다각도로 살펴야 해. 지금처럼 불확실한 시장에서는 특히 그렇지.
마지막으로, 앞으로 시장은 양적 긴축 종료, 물가 안정,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그리고 Q 전환 이 네 가지 신호를 따라가게 될 거야. 이 신호들이 맞물릴 때 알트코인 시장은 한층 더 강력한 상승을 맞이할 거고, 그 안에서 어떤 알트코인이 중심에 설지는 네가 얼마나 잘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어.
결론적으로, Q가 아니더라도 알트 불장은 가능하지만, 소수 알트코인에 국한될 확률이 높고, Q까지 나오면 시장 전체가 훨씬 뜨겁게 달아오를 거야. 지금은 바로 앞에 올지도 모를 불장을 준비하면서 시장 상황을 차분히 지켜볼 타이밍이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