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이더리움은 증권일까? POS이후 탈중앙화 여부는?

작성자 정보

  • 코어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더리움은 중앙화인가, 탈중앙화인가?

 

POW코인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수학문제를 풀어야 하는 만큼 장비도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해 나가야 한다.

그래서 POW코인의 가격은 대부분 상당히 비싼 편이다.

POS코인은 스테킹이해 놓으면 검증인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없다.
스테이킹만 해 놓으면 되니까.

그래서 시장에 신규로 진입하는 회사는 POW코인 생태계 진입이 굉장히 힘들다.
초기 투자비용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POS는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이더리움 활성 검증자수가 계속해서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다.
그만큼 참여자가 많아지고 있고, 탈중앙화가 개선된 것이다.

또한 이더리움은 단일주체가 제어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내용이 인정받아 현재 암호화폐법안에 의해서도 암호화폐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이더리움은 증권형 코인인가?

미국에서는 탈중앙화에 대해 제 3자에 대해 기대이익이 있다면 증권에 해당한다는 조항이 있다.
그래서 증권으로 보기 위해서는 POS코인들이 될 확률이 높고, 중앙화될수록 증권형 코인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이더리움은 탈중앙화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증권으로 분류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렇다면 리플은 어떨까?
리플은 완벽한 증권형태로, 괜히 소송이 걸린 것이 아니다.

리플은 전량 회사가 발행했고 일반인이 채굴이나 노드 참여도 불가능하다.
또 대부분의 물량을 회사가 보유하고 그걸 팔아 회사가 수익을 가져갔다.

완벽한 증권적 성향을 띄고 있는 것이다.

비탈릭 부테린은 리플을 보호할 가치가 없는 코인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는데, 이런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