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대격변, 이제 진짜 시작된다
작성자 정보
- 다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1 조회
-
목록
본문
스테이블코인 얘기가 요즘 진짜 핫하다.
미국에서 움직임이 심상치 않은데, 들은 바로는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올해 안에 통과될 가능성이 진짜 높다더라.
미국 규제 기관 쪽 사람들이 하나같이 입 모아 얘기하는 게,
"지금 나와 있는 가상자산 규제 중에 제일 급한 게 스테이블코인이다" 이거였대.
그래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가장 먼저 통과될 거고, 타이밍은 올해 중으로 본다고.
현재 미국엔 두 개 법안이 올라와 있는데, 하나는 '지니어스 액트', 하나는 '스테이블 액트'다.
둘 다 방향은 비슷한데, 약간 디테일 차이는 있음. 예를 들면 이자 지급 허용 여부.
지니어스 액트는 이자형 스테이블코인 허용하는데, 스테이블 액트는 금지하는 식이다.
그래서 이자 달린 스테이블코인이 증권이냐 아니냐 이걸 두고 또 싸움 날 가능성도 있다.
근데 이게 또 디파이 쪽에서는 더 복잡함.
탈중앙화 됐냐 안 됐냐에 따라서 규제할지 말지 갈리는데, 탈중앙화 기준도 아직 미국에서 명확하게 정해진 게 없음.
그래서 디파이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조금 더 시간이 걸릴 듯.
왜 이렇게 스테이블코인을 중요하게 보냐면, 이유는 딱 두 가지.
첫 번째는, 현재 전체 가상자산 거래의 84%가 스테이블코인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거.
두 번째는,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 유지에 핵심 수단이라는 점.
미국 입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에도 달러 왕국 계속 유지하려면 스테이블코인 키워야 하는 상황임.
그리고 테더(USDT) 얘기도 안 할 수가 없는데, 미국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한쪽은 테더가 그냥 살아남을 거라고 보고, 다른 쪽은 규제 먹을 거라고 본다.
특히 지니어스 법안 보면 준비금을 미국 현금성 자산으로만 구성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서,
비트코인 준비금 많이 쌓아놓은 테더 입장에서는 찜찜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또,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 후엔 자연스럽게 '가상자산 포괄법' 논의로 넘어간다.
여기서는 코인 자체가 증권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거래 방식이 증권이냐를 본다고 한다.
리플 사건 때 나온 얘기처럼, 판매 방법이나 거래 구조에 따라 증권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바뀌는 거지.
스테이블코인 시장 커지면 뭐가 투자처냐고?
일단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시장 친화적으로 통과되면, 그다음 규제들도 시장 친화적일 가능성 높다.
그래서 눈여겨봐야 할 건 두 가지다. 하나는 ETF, 하나는 RWA(실물자산 토큰화).
특히 솔라나, 리플 같은 알트코인 ETF나, 부동산/채권 같은 RWA 프로젝트들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코인베이스 주식 살까 말까 고민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단기적으로는 좋을 확률 높다.
가상자산 인프라 선점 효과가 워낙 크고, 스테이블코인 유통 수익 구조도 짭짤하니까.
게다가 앞으로 미국 투자자 대상으로 무기한 선물 시장까지 열리면, 거래량 폭발할 거란 예상도 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로빈후드나 전통 금융권 진입 때문에 경쟁 심해질 거라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요즘엔 주정부 차원에서도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비 중이라는데,
7월쯤엔 진짜 주정부 발 스테이블코인이 나온다고 한다.
이것도 나름 미국 시장에서 꽤 중요한 이벤트가 될 것 같음.
그리고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만 커지는 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자기네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만들려는 움직임 있다.
일본은 은행/신탁회사만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했고, 유럽도 유로화 기반으로 제한 걸어놨다.
한국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 본격적으로 올라올 거라는 얘기 슬슬 나오고 있다.
다만 스테이블코인이 진짜 대중화되면, 과세나 자금 이동 통제 같은 문제는 꽤 골치 아플 듯.
지금은 아직 IRS(미국 국세청) 쪽 구체적 얘긴 많이 안 나왔는데, 준비는 하고 있을 거라고 본다.
과거에도 가상자산 출금이나 매도 관련해서 다 통제 장치 마련했으니까,
스테이블코인 관련해서도 비슷한 식으로 출구 쪽 감시하는 식으로 관리하려 할 듯.
스테이블코인 판은 확실히 커진다.
근데 여기서 누가 살아남을지는, 법안 통과되고 나서 판이 열려봐야 안다.
여튼 지금부터는 스테이블코인, ETF, RWA 이 세 개는 눈여겨 봐야 할 듯.
이상 끝~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