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투자, 한철 장사로 보는 이유와 전략
작성자 정보
- 퍼즐매니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1 조회
- 1 댓글
-
목록
본문
요즘 알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는 상황이야.
하지만 알트코인은 절대로 장기 투자 자산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어.
대부분의 알트코인이 비트코인과 비교하면 가치가 훨씬 불안정하고, 수익이 한시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
알트코인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가을 한철 장사’라고 할 수 있어.
이 시기는 비트코인의 상승이 한창인 상황에서 알트코인이 그 뒤를 따라 폭발적으로 오르는 기간이지.
알트코인은 기본적으로 재단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야.
이는 비트코인과는 확실히 다른 점이지.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지만, 알트코인은 재단이 필요할 때 코인을 추가 발행해서 팔아 수익을 챙길 수 있어.
이 구조 때문에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처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보긴 어려워.
2017년 말~2018년 초에 첫 번째 대세 상승장이 있었는데, 그때 최고가를 뛰어넘은 알트코인은 이더리움 하나뿐이었어.
이건 알트코인이 대부분 단기적인 수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야.
그래서 알트코인을 장기 투자 대상으로 보는 건 위험하다는 거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가장 큰 차이점은 투자 패턴이야.
비트코인은 4년마다 있는 반감기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상승을 보여주는 반면, 알트코인은 특정 시기에만 급등하고 이후에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아.
특히 알트코인의 대세 상승장은 반감기 후 7개월쯤부터 시작해, 반감기 12~18개월 후에 정점을 찍는 경우가 많아.
이런 패턴을 알고 투자하면 좀 더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겠지?
알트코인 투자 전략
알트코인 투자에서 중요한 건 적절한 시점에 빠져나오는 거야.
상승장에서 너무 욕심을 부리다 보면, 꼭대기에서 팔지 못하고 하락장을 맞이하게 될 가능성이 커.
단기적으로는 김치 프리미엄이나 펀딩비 같은 지표를 활용해 고점을 예측할 수 있어.
김치 프리미엄은 한국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코인 가격 차이를 말하는데, 이 차이가 10~15% 이상 벌어질 경우 고점일 가능성이 높아.
펀딩비는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0.1%를 넘으면 과열로 볼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의 120일 이동 평균선을 참고하면 좋아.
비트코인 가격이 이 선 아래로 떨어지면 전체 상승 추세가 끝났다고 보고 알트코인도 함께 정리하는 게 안전해.
분산 투자와 리밸런싱
알트코인 투자에서는 특정 코인에 올인하기보다는 상위 시가총액 코인에 분산 투자하는 게 좋아.
예를 들어, 투자 금액의 절반은 비트코인에, 나머지 절반은 알트코인 상위 10~20개에 분산 투자하는 식이지.
그리고 한 달에 한 번씩 리밸런싱을 통해 수익이 난 코인을 정리하고 덜 오른 코인에 재투자하면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어.
또 다른 방법으로는 특정 섹터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거야.
예를 들어, AI 코인, 실물 자산 토큰화 코인(RWA), 혹은 김치 코인 같은 섹터별로 시가총액이 높은 코인을 선택해 투자하는 거지.
섹터 내 코인들은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서 효과적이야.
투자 시 주의할 점
첫째, 레버리지는 피하자.
알트코인은 변동성이 커서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큰 손실을 볼 위험이 커.
둘째, 고점에 도달했을 때 미련을 버리고 과감히 매도하자.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최고점에서 팔고 싶어 하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
제시 리버모어도 말했듯이, 번 금액의 일부는 잃더라도 적당히 정리하는 게 현명해.
알트코인 투자는 한철 장사라는 걸 항상 염두에 둬야 해.
제대로 된 타이밍에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전략을 잘 세우면, 짧은 기간 동안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어.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알트코인보다 비트코인에 더 안정적인 자산이라는 점을 기억했으면 해.
관련자료
-
이전
-
다음